시, 해당 비료 생산시설 감사서도 문제없어…사실무근 주장
(포천=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경기도 포천지역 환경단체가 12일 영중면 축산분뇨를 활용한 비료 생산시설 설치와 운영과정에 수백억원을 횡령한 혐의가 있다고 주장하며 서장원 전 시장과 담당 간부공무원 등 3명을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사)경기포천환경운동본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서 전 시장 등 3명이 2011∼2017년 축산분뇨로 액비 등 비료를 생산하는 시설을 설치, 운영하며 국·도비와 시비 등 보조금 수백억원을 착복했다"며 "횡령 혐의로 3명을 사법당국에 고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허울뿐인 시설만 지어놓고 비료 생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음에도 매년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거액의 혈세가 쓰인 근거가 없다는 것이 환경단체의 주장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12/AKR20170712146600060_01_i.jpg)
포천환경운동본부 관계자는 "비리 관련자 고발과 함께 그동안 의혹에 그쳤던 비리를 시민에게 낱낱이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는 수차례 감사에서 문제가 없었던 사항이라며 환경단체의 주장을 일축했다.
시 관계자는 "비료 생산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동안 여러 차례 감사에서도 문제가 없었다"며 "시가 매년 2천만원의 임대수익까지 올리고 있는 데 무슨 근거에서 수백억원을 횡령했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해명했다.
문제의 시설은 음식물 처리시설 등 기피시설이 밀집된 마을에 주민 보상차원에서 시가 국·도비 지원 등 모두 73억원을 들여 서 전 시장 재임 때인 2013년 완공했다.
축산분뇨를 건조하거나 발효시켜 하루 80t의 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이 시설은 마을기업에 맡겨 운영하고 있으며, 소유권을 가진 시는 임대료를 받고 있다.
서 전 시장은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포천시장 직을 수행하다가 지난해 7월 강제추행·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가 대법원에서 인정돼 시장직에서 물러났다.
wyshi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