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20곳 설치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임신과 분만 관련 질환으로 숨지는 임산부가 대폭 줄어들었다.
보건당국은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에 산부인과를 설치해 운영할 수 있게 지원하고 특히 고위험 임산부가 안전하게 출산할 수 게 안심분만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써온 덕분으로 풀이했다.
16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출생아 10만명당 모성사망비는 8.7명으로 전년보다 2.3명 줄어 역대 가장 낮았다.
모성사망비는 임신 또는 분만 후 42일 이내에 숨진 여성을 해당 연도의 출생아 수로 나눈 수치다.
모성사망비는 2008년 12.4명까지 낮아졌다가 2009년 13.5명, 2010년 15.7명, 2011년 17.2명으로 치솟았다. 2010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의 평균 9.3명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었다.
이처럼 임신과 분만으로 숨지는 산모가 급격히 늘자, 위기를 느낀 복지부는 2011년부터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에 착수했다.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를 찾기 어려운 지역 산모들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지역에서 산부인과를 설치하고 운영하는데 드는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급격한 출산율 저하의 영향으로 농어촌의 출산 인프라가 무너지면서 분만 의료취약지역에 사는 산모들은 시간적, 경제적 손해를 감수하며 산전산후 진찰과 분만을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해 대도시로 원정 출산을 나가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다.
복지부는 이 사업을 통해 2016년까지 분만산부인과 14곳, 외래산부인과 16곳, 순회진료 산부인과 5곳 등 총 35곳을 지원했다.
복지부는 나아가 고위험 임산부를 위한 안전한 분만 환경과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2014년부터는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권역별로 지정, 운영하도록 지원사업을 벌였다.
통합치료센터는 중증 질환을 복합적으로 가진 산모와 신생아가 체계적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설로, 양막 파수 등으로 조산 우려가 있거나 분만 후 대량 출혈로 불안정한 산모를 치료하기 위한 장비를 갖췄다.
지난해까지 9곳의 의료기관이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로 지정됐다. 올해 하반기에는 이대목동병원과 가천대 길병원, 칠곡 경북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 등 4곳이 추가됐다.
복지부는 앞으로 총 20곳을 통합치료센터로 지정해 고위험 임신부가 안전하게 분만할 수 있게 치료전달체계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대한산부인과학회에 따르면 최근 결혼 연령과 평균 출산연령이 늦어지고 고령 임신부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고위험 임신도 덩달아 많아져 유산·사산·선천성 기형·조산 등 합병증이 늘고 있다.
실제로 조산의 경우 2000년에는 전체 분만의 3.8%를 차지하던 것이 2014년에는 6.7%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산부인과학회는 "조산 등 고위험 임신치료에 대한 집중 지원은 신생아의 생존율을 높이는 등 건강한 미래세대를 위한 새롭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어렵게 임신한 임신부가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해 건강한 아기를 출산할 수 있도록 지원확대를 요구해왔다.
sh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