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둥시 무역회사 대상…중국인 관계자 형사소추도 염두"
(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권이 핵·미사일 개발을 계속하는 북한과 위법거래를 한 중국 무역회사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15일 신문에 따르면 미국측은 증거가 확보되면 이 기업에 금융 제재를 할 방침이다. 지난달 말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에 나선 트럼프 정권이 중국에 대한 압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사 대상 기업은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시를 근거로 하는 무역회사다.
미국 법무부가 발부한 수사허가 문서에 따르면 이 무역회사는 북한의 군 장비 및 무기 개발 계획과 관련된 물품 구입에 관여하고 있다. 위법 거래액은 총 7억달러(약 7천934억원)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법무부는 법원으로부터 수사허가를 받아 이 무역회사와 관련 회사가 미국 등에 보유한 8개 금융기관에 보유한 계좌를 조사해 자금 흐름을 파악하고 있다.
미국 법무부는 이들 계좌의 입출금 명세를 조사하는 한편, 추가 출금을 막는 조치를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미국 법무부는 중국인 관계자들에 대한 형사 소추도 염두에 두고 수사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7/03/08/01/C0A8CA3D0000015AAD1AB62E00052C3B_P2.jpeg)
앞서 지난해 9월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정권은 북한과 위법거래를 한 중국 기업 단둥훙샹실업발전에 대해 금융 제재를 단행했다. 당시 미국 법무부는 이 회사의 최대주주 마샤오훙 등을 돈세탁 혐의로 기소한 바 있다.
미국 안보 분야 연구기관인 C4ADS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 무역회사에 대해 "과거 3년간 북한산 석탄을 중국으로 가장 많이 수입한 업자"라고 지적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또 이 무역회사의 관련사 한 곳은 북한이 수출하는 로켓탄 수송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요미우리나 C4ADS는 문제의 무역회사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았지만, 북한에 트럭과 기계류, 전자제품을 수출한 것으로 알려진 '단둥 둥위안'으로 추정된다.
앞서 미국 재무부는 지난달 29일 중국 단둥은행을 돈세탁 우려 기관으로 지정해 미국 금융기관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금융 제재에 나섰다.
로이터통신도 최근 트럼프 정권이 수주 이내에 중국의 소규모 은행과 기업에 대해 새로운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ap/2017/07/08/PAP20170708171901003_P2.jpg)
choina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