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과 비교 금지"…웨이보·위챗 등에서 삭제·차단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중국이 동화 캐릭터 '곰돌이 푸'를 소셜미디어에서 검열해 배경이 주목되고 있다.
17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푸를 담은 사진이나 동영상이 최근 한 주 동안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모바일 메신저 위챗 등 소셜미디어에서 삭제됐다.
푸의 이름을 웨이보에 입력하면 "불법 콘텐츠"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17/AKR20170717073000009_04_i.jpg)
그 까닭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통통한 캐릭터 푸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희화화하는 소재로 사용되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일반적이다.
시 주석을 푸와 비교한 사진은 2013년 미국을 방문해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을 만날 때 처음으로 등장했다.
두 정상은 각각 푸와 호랑이 친구 '티거'로 묘사됐다.
이듬해에는 시 주석을 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늙은 당나귀 '이요'로 빗대는 그림까지 나타났다.
특히 2015년 시 주석이 오픈카를 타고 사열하는 장면을 푸가 장난감 자동차를 탄 모습과 비교한 사진은 정치 컨설트업체 '글로벌 리스크 인사이츠'가 선정한 그해 최다 검열 사진으로 선정됐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17/AKR20170717073000009_03_i.jpg)
FT는 푸에 대한 이번 검열이 국가 지도부를 임명하는 제19차 공산당대회를 앞두고 이뤄졌다는 점을 주목했다.
시사평론가인 차오무(喬木) 베이징외국어대 부교수는 "역사적으로 보면 (당대회를 앞두고) 정치적 세력 규합과 정치적 행동이 금지됐는데 올해는 시 주석에 대한 언급, 세 번째 대상이 추가됐다"고 말했다.
차오 교수는 시 주석에 대해 논평을 했다가 구속된 온라인 평론가도 있다며 곰돌이 검열사건도 같은 맥락으로 본다고 해설했다.
그간 대형 정치행사 기간에 중국 검열 당국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단어들은 대체로 직접 관련이 된 것들이었으나 이번에는 다른 양상이다.
곰돌이 푸는 영국 작가 AA 밀른이 1926년 출판된 동화에서 창작한 캐릭터로 원래 이름은 '위니 더 푸'(Winnie-the-Pooh)다.
jang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