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국내 경제·회사 실적 고려해야"…노조 "사측 수정안 기대"
(광명=연합뉴스) 강영훈 기자 = 기아자동차 노조가 18일 파업을 결의함에 따라 실제로 파업에 돌입할지 관심이 쏠린다.
기아차 노조는 2012년부터 한 해도 빠짐없이 파업해 올해도 파업하면 6년 연속이 된다.
기아차 노조는 17일부터 이틀간 전체 조합원 2만8천240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을 묻는 투표를 한 결과 2만4천871명(투표율 88.1%)이 투표해 2만375명(총원대비 72.1%·투표인원 대비 81.9%)이 찬성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말 임금교섭 결렬을 선언한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쟁의 조정' 신청을 해 '조정 중지' 결정을 받은 바 있다.
법적으로나 내부 절차상으로나 파업 돌입을 위한 준비를 마친 셈이다.
그러나 노조가 실제로 파업에 돌입할지는 미지수다.
기아차는 1960년부터 노조가 존재했으나,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것은 1991년이다.
이후 노사 간 의견 조율이 잘 이뤄진 2010년∼2011년 2년간을 제외하면 그야말로 파업의 연속이었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연속 파업했다.
기아차 사측이 추산한 결과 이 기간 노조 파업 일수는 59일이고, 생산 차질은 27만 8천400대, 5조500억원에 이른다.
특히 지난해에는 파업 기간이 23일(2012년∼2015년에는 3∼13일)에 달해 가장 큰 생산 차질(11만3천대·2조2천억원)이 빚어졌다.
노조가 올해 또다시 파업에 돌입할 경우 생산 차질에 따른 회사의 실적 악화는 불가피하다.
업계 안팎에서는 국내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완성차 사업장이 파업하면 그 파급력이 상당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일례로 지난 17일 중노위는 현대자동차 임금·단체 협약 교섭 결렬 후 열린 쟁의 조정회의에서 조정 중지 결정을 내면서 "현대차는 국민 기업이고 글로벌 기업으로 결정사항에 대한 파급력이 크므로 부여된 쟁의권을 소중하게 사용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6년 연속 파업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비판 여론도 고려해야 할 대상이다.
노조는 파업 돌입을 결정하기에 앞서 사측 제시안을 받아보고, 신중한 검토를 거쳐 파업 여부 및 그 시기와 수위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우선 휴가(7월 31일∼8월 4일) 전 임금교섭을 타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사측 또한 임금교섭 재개 의지를 보여 이른 시일 내 교섭이 타결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노사 간 통상임금 문제와 관련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점은 이런 전망을 어둡게 하는 대목이다.
올해 임금교섭에서 노사는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하는 문제를 두고 의견 충돌을 빚어왔다.
사측이 제안한 안은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하되 총액임금은 기존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지만, 노조는 총액임금을 더 높여야 한다고 맞서다가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 관계자는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이지만, 파업 돌입을 결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노조의 요구안에 충실한 사측 제시안이 나오는지 보고, 또 여러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선은 휴가(7월 31일∼8월 4일) 전 사측과 임금교섭을 타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아울러 전국금속노조 산하 완성차 분과인 현대차, 한국지엠(GM) 등 다른 노조와 행보를 함께하기 위해 조율도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기아차 관계자는 "국내 경제가 어렵고, 회사 실적이 좋지 않은데 노조가 파업한다면 위기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완성차 업계의 파업은 영세한 부품업체 수익성 악화로도 이어질 수 있으므로 노조의 신중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ky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