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사 가격 부풀리기 경쟁으로 천정부지…실제 계약률은 10%
강원도·조직위, 9∼10월 가격안정 예상…배후도시로 분산 유도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21/AKR20170721127700062_01_i.jpg)
(평창·강릉=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 "몇 명이세요? 며칠간 묵으실건데요? 가격은 어느 정도 생각하시는 데요?"
내년 2월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 숙박을 위해 강릉의 한 모텔로 들어가 묻자 직원은 조건 반사적으로 몇 가지를 물었다.
분명 프런트에는 모텔에서 책정한 비수기와 성수기 가격표가 있었으나 이는 가볍게 무시됐고, 네고(Negotiation, 협상)가 이어졌지만 길지 않았다.
모텔 측에서 1박에 40만원을 불렀기 때문이다. 침대 하나에 단 두 명만 사용하는 조건이다.
바다가 보이는 객실의 성수기 요금이 15만원∼20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곱절이 넘는 값이다.
강릉과 평창지역의 올림픽경기장 인근 모텔과 펜션 등 30여 곳을 종일 돌아다닌 결과 이들이 최우선으로 계약하는 요구조건은 이랬다.
우선 적어도 2월 내내 사용해야 하고, 될 수 있으면 객실 전체를 계약하는 조건이다.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금상첨화다.
기간과 인원이 줄어들면 값은 1박에 최대 70만원까지 오른다. 두 가지 중 한 가지는 고집하는 곳이 많아 소규모 또는 단기 관광객 조건으로는 명함도 내밀기 어려웠다.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일대는 리(里)라는 행정구역 단위가 말해주듯 조그마한 산골 동네로 숙박업소 선택지도 몇 없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21/AKR20170721127700062_02_i.jpg)
강릉과 평창지역의 숙박요금이 천정부지로 오른 이유는 '여행사들의 경쟁적인 숙박업소 계약' 때문이다.
1년, 아니 그 이전부터 여행사 관계자들은 수시로 찾아와 "올림픽 기간 내내 1박에 40만원∼50만원은 받을 수 있으니 우리와 계약하지 않겠느냐"고 마구 제시해댔다.
숙박업소에 이 정도 요금을 준다면 여행사는 관광객에게 60∼70만원까지 받는다는 얘기지만 이는 업주들의 고려대상이 아니었다.
성수기 가격보다 곱절이나 되는 돈을 한 달 내내 받을 수 있으니 마다할 이유는 없었다.
아쉬운 건 여행사를 통해 숙박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직접 발품을 판다면 여행사를 통한 계약보다는 싸겠지만, 외국인 관광객들이 그런 수고를 할 리가 없다.
결국, 업주 입장에서는 반드시 경기장 근처에서 묵어야 할 수요가 있고 후한 값을 받을 수 있는데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소규모나 단기 체류 관광객에 아쉬운 소리 할 필요도 없다.
평창 횡계리의 한 호텔 업주는 "처음에는 '이렇게 받아도 되나?' 싶었는데 다른 올림픽 개최지역에서도 다 그렇게 받았다고 하고, 일부는 벌써 비싸게 계약까지 했다고 하니 기왕이면 좋은 조건에 계약하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숙박업주들이 만나서 커피 한잔 마신 적 없지만, 여행사에서 잔뜩 부풀린 가격에 업주들의 기대심리도 오르면서 시세는 높은 가격에 형성됐다.
호텔 가격비교사이트에서 동계올림픽 기간 이들 지역의 숙박업소를 검색하자 평창의 한 펜션의 2인실 1박 요금이 100만원에 올라있었다. 6인실은 심지어 450만원으로 내놨다. 눈을 비비고 다시 봤을 정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올림픽 기간 아파트 임대계약까지 성행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7/02/07/01/C0A8CAE20000015A1495B76D00000003_P2.jpg)
하지만 강원도에 따르면 정작 개최지역의 숙박업체 실제 계약률은 10% 정도다.
여행사들이 찔러보기만 하고 계약하지 않은 것이 상당수라는 얘기다.
업주들도 개최까지 200일이 남아 있어 더 좋은 조건이 나타나지 않을까 가계약만 해둔 채 눈치를 보고 있다.
도와 조직위가 예상하는 평창동계올림픽 때 1일 최대 관람객 숫자는 10만4천여명이다.
이 중 60%가량이 숙박할 것으로 보여 3만실이 필요하다.
조직위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경기연맹(IF), 국가올림픽위원회(NOC) 등 클라이언트와 대회운영인력을 위해 확보한 숙박시설을 제외하면 관광객에게 공급 가능한 숙박시설은 3천484개소 4만2천984실이다.
조직위가 확보한 물량은 대부분이 개최지역에 있는 양질의 숙박시설이다. 유치 당시 IOC와 약속한 내용이기에 반드시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관광객은 주로 개최지역 모텔이나 펜션 또는 속초, 고성, 양양, 삼척, 원주 등 배후 지역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도 역시 관광객을 개최지역에만 묶어두기보단 배후 지역으로 분산시켜 다양한 관광상품을 소개하고 '다시 찾는 강원도' 이미지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7/21/PYH2017072109970001300_P2.jpg)
최근 한국관광공사, 동계올림픽조직위, 올림픽 개최 시·군, 관광업체 등과 제2차 관광올림픽 종합대책회의를 열어 올림픽을 활용한 관광상품을 만들기 위한 기관별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공동 협업 마케팅 방향 등 폭넓은 의견을 교환하기도 했다.
개최도시와 배후도시의 접근성도 높일 계획이다.
도는 조직위에서 운영하는 평창, 강릉, 정선 셔틀버스 외에 배후도시에서 개최도시까지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각 시·군은 지역 내 셔틀버스를 운영하기로 했다.
숙박요금도 배후 지역으로 눈을 돌리면 1박에 10만원으로 크게 내려간다.
도는 각 시·군, 숙박업계와도 합리적인 숙박요금 형성도 유도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에도 숙박요금이 안정될지는 미지수다.
도와 조직위는 조직위가 확보한 물량 중 남는 물량이 시장에 풀리는 9∼10월이면 가격이 자연스럽게 조정돼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지만, 업주들이 고집을 꺾지 않는다면 강제로 규제할 수도 없다.
호텔과 달리 모텔과 펜션은 등급을 매길 수도 없고, 이미 모텔에서 호텔로 바꾸는 등 시설 투자한 곳도 있어 반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때문에 터무니없는 가격만 고집하다간 되레 공실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도 관계자는 "숙박협회와 업주들이 올림픽 특수보다는 올림픽 이후를 위한 합리적인 가격 형성에 동참하려 하고, 수도권 이탈 등으로 인한 공실 발생 우려에 공감하고 있어 합리적인 수준으로 결정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conany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