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수장 박경민 청장…인원 복귀·수사권·본청 위치 등 미확정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7/25/PYH2017072529050005600_P2.jpg)
(인천·서울=연합뉴스) 손현규 이태수 기자 = 해양경찰청이 2년 8개월 만에 해양수산부 산하 독립 외청으로 26일 공식 출범했다.
신임 해경청장에는 경찰대 1기 출신인 박경민(54) 인천지방경찰청장이 임명됐다. 그러나 새로 부활한 조직을 정비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해경청은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부처별 직제 등 새 정부 조직개편을 위한 관련 법령안이 전날 국무회의에서 심의·확정돼 이날 공포·시행됨에 따라 이날 해수부 산하 독립 외청으로 재탄생했다.
2014년 세월호 참사 때 구조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책임으로 해체된 이후 신설된 국민안전처 산하로 편입된 지 2년 8개월 만이다.
해경청은 조직 해체 과정에서 경찰청에 넘겨줬던 일부 수사·정보기능도 되돌려받아 제 모습을 갖출 예정이다.
실제로 중부지방해양경찰청 등은 기존 경비과에서 정보수사계를 분리해 수사정보과로 확대 개편하고 인원도 보강됐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7/26/PYH2017072639040006500_P2.jpg)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7/26/PYH2017072634810005300_P2.jpg)
신임 박 청장은 전남 무안 출신으로 온화한 성품과 합리적인 일 처리로 조직 내의 신망이 두텁다. 조직관리와 소통능력도 뛰어나 수장으로서 해경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찰청 대변인과 중앙경찰학교장, 전남청장 등을 지냈다. 경희대에서 법학 석사학위도 받았다.
해경청은 공식 출범에 맞춰 '내일보다 오늘이 더 안전한 바다'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해경은 ▲ 든든한 안전 ▲ 당당한 주권 ▲ 공정한 치안 ▲ 깨끗한 바다 ▲ 탄탄한 해양경찰 등을 약속했다.
해경은 이날 "지난 3년간 뼈를 깎는 다짐과 노력의 시간을 보내고 오늘 새로운 출발을 맞이하니 만감이 교차한다"며 "어떠한 위급한 순간에도 오직 국민만 생각하며 뛰겠다"고 밝혔다.
해경청은 외청으로 독립했지만, 해결해야 할 숙제는 많다.
2014년 조직이 해체될 당시 경찰청으로 넘어간 해경의 정원 505명과 수사·정보 담당 해양경찰관 200명(행정직 3명 포함)을 다시 넘겨받아야 한다.
해경 출신 경찰관들은 따가운 눈총과 인사 고과 등에서 각종 불이익이 예상된다며 '친정' 복귀를 사실상 거부하는 모양새다.
경찰청과의 수사권 조정도 아직 결론 나지 않은 상태다.
해경은 해체 후 '해상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제한된 수사권을 과거처럼 육지로까지 수사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경찰청은 '해경 부활'이 해상에서 벌어지는 각종 사건·사고에 잘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인 만큼 해양 관련 수사권은 과거처럼 경찰이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를 낸다.
해경청 본청을 어느 지역에 둬야 할지도 결정되지 않았다.
해경청은 1953년 창설 당시 부산에 자리를 잡았다가 1979년 인천 북성동으로 이전했고 2005년에는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새롭게 둥지를 텄다.
2014년 국민안전처 산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재편됐고 지난해 8월에는 안전처의 세종시 이전에 맞춰 정부 세종청사로 이전했다.
인천과 부산의 정치권·시민단체가 해경청 본청을 서로 유치하겠다고 나선 상황이지만, 기존 세종 청사 근무를 원하는 해경 내부 의견도 상당하다.
s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