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보고서…"생산가능인구 늘면 대외투자 확대"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우리나라에서 심각한 고령화가 대외투자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국제금융연구팀의 임진수 차장과 김영래 조사역은 26일 '고령화가 대외투자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시장 간 연계성 심화로 고령화의 외환 부문에 대한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임 차장과 김 조사역이 2001∼2015년 미국, 영국, 일본, 호주, 터키, 인도 등 54개국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령화 진전이 대외투자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26/AKR20170726088800002_01_i.jpg)
직장에서 은퇴한 고령층은 줄어든 소득을 감안해 대외투자자산을 많이 팔기 때문이다.
특히 대외투자에서 채권보다 주식이 고령화 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이 채권보다 위험자산으로 평가되는 만큼 경제 충격에 변동성이 큰 것이다.
반면, 생산가능인구(15∼64세) 증가는 대외투자자산을 늘리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소득이 소비보다 많으면 남은 돈으로 대외투자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문제는 고령화에 따른 대외투자 위축이 외환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대외투자자산 축소는 앞으로 외환조달 재원의 원천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며 "대외투자자산이 급감할 경우 지급불능이 우려되고 대외신인도가 하락함으로써 자본유출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외투자자산을 미리 축적함으로써 소득수지 흑자 규모를 늘릴 필요가 있고 생산가능인구를 늘리는 노력을 지속해서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noj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