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이 3.5m·지름 0.2m·무게 58㎏…과산화수소 추진체로 사용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 로켓동아리 하나로팀이 공동으로 개발한 과학로켓 '스누카-Ⅱ'(SNUKA-Ⅱ)이 28일 오후 전남 고흥 항공센터에서 발사된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27/AKR20170727049800063_02_i.jpg)
이번 발사 시험은 당일 고흥 항공센터에서 열리는 '제22차 고흥군 우주항공산업발전협의회 행사'의 하나로 오후 5시 20분부터 40분간 진행된다.
스누카-Ⅱ는 총 길이 3.5m, 지름 0.2m, 무게 58㎏의 과산화수소를 추진체로 사용하는 소형 친환경 로켓이다.
발사 시 엔진이 10초 동안 작동한 뒤 20여초 동안 관성 비행을 해 최대 고도 3km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어 낙하산을 이용해 지상에 착지하는 것으로 시험이 마무리된다.
로켓의 모든 비행 데이터는 지상국으로 전송되며, 로켓 내부의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특히 최대 2천500 뉴턴(N)의 추력을 낼 수 있는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이 장착돼 성능이 우수하며, 엔진의 고성능 추진체 밸브 덕분에 발사 후 계속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작동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27/AKR20170727049800063_03_i.jpg)
과학로켓은 무중력 실험공간 확보, 대기 측정, 천체 촬영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개발 과정에서 로켓 추진기관 기술, 대기관 재진입 기술 등 우주발사체 관련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스누카-Ⅱ 모든 부품은 국내 기술로 제작됐으며, 탄소섬유 튜브를 동체로 활용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권 교수는 27일 "이번에 개발한 로켓 기술을 토대로 캔 위성(인공위성의 구성 요소를 단순화해 음료수 캔 정도의 크기와 모양으로 만든 모사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로켓 개발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