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외교 갈등 이후 대치 국면 대비…항구·공항·전력생산 능력이 충격 흡수
![](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af/2017/07/12/PAF20170712223301003_P2.jpg)
(서울=연합뉴스) 김정은 기자 = 걸프 지역 소국 카타르가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변 아랍권 4개국의 단교, 봉쇄조치로 두 달 가까이 고립된 상황에서도 자주권을 지키겠다며 굽히지 않고 버티면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카타르가 이같이 대응할 수 있는 것은 과거 주변국과의 대치 국면에서 얻은 교훈 덕분에 봉쇄조치에 대비돼 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ap/2017/07/27/PAP20170727149901003_P2.jpg)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이집트 등 4개국은 지난달 5일 카타르의 테러단체 재정 지원 등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단교를 선언하고 국경 봉쇄, 금수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카타르에 대한 이들 국가의 압박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사우디와 UAE, 바레인은 2014년에도 이번 단교 선언 때와 같은 이유를 들어 카타르 주재 자국 대사를 본국으로 불러들였다. 갈등은 카타르 군주 셰이크 타밈 빈하마드 알타니가 이들 국가의 반발을 산 외교정책을 다소 완화하면서 봉합됐다.
당시에는 이번처럼 전면적인 국경, 영공, 항구 봉쇄나 인적 왕래 금지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
하지만 많은 카타르 국민은 주변국과의 마찰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고, 추후 있을 수 있는 갈등에 확실히 대비했다.
먼저 카타르에는 2014년에는 없었던, 대형 컨테이너선이 정박할 수 있는 새로운 항구, '하마드 항구'가 생겼다. 덕분에 카타르행 화물이 주로 모이는 UAE 두바이를 통한 선적이 금지된 데 따른 타격을 줄일 수 있었다.
카타르 수도 도하에 건설된 새로운 하마드국제공항은 화물 수송기를 통한 식량 수입을 늘릴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또 잉여 전력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어 봉쇄조치에도 불구하고 조명은 물론 걸프 지역에서 여름철 필수적인 에어컨 가동도 유지되고 있다.
이번 봉쇄조치에 따른 가장 두드러진 경제적 영향은 16억 달러(약 1조8천억원) 규모 카타르 유제품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우디산 유제품이 끊겼다는 것이다.
그러나 카타르는 터키, 아제르바이잔, 레바논산 우유를 공수하고 자국산 우유 생산을 통해 이를 대신하고 있다.
도하 북부 사막에서는 1만4천마리를 수용할 수 있는 소농장 건설이 한창이며, 이미 165마리가 이곳에 도착했다.
현지에서는 이번 봉쇄조치 이전부터 우유 사업이 추진되고 있었지만, 단교 사태 이후 사업이 크게 확대됐다.
또 국가 간 외교적 위기에도 가스, 금융 등 카타르와 아랍권 4개국 간 일부 사업은 그대로 진행 중이다.
카타르 싱크탱크인 아랍조사정책연구센터(ACRPS) 마르완 카발란은 "2014년 우리는 사우디가 국경을 폐쇄할 경우 카타르가 살아남을 수 있을지 상상할 수조차 없었는데, 이제 카타르인들은 그렇다 해도 우리가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카타르대 걸프연구프로그램 대표인 압둘라 바부드는 "카타르는 충격을 흡수했다"면서 "경제적 비용이 있지만, 주권을 잃는 비용과 비교해봐야 한다. 카타르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주권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k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