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 광주 군공항 주변 주민들이 민간항공기뿐 아니라 전투기 소음 지역도 동일한 냉방 전기료 지원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02/AKR20170802109200054_01_i.jpg)
광주공항소음피해소송광산구주민대책위원회 2일 보도자료를 내고 "항공기 소음피해 지역에 민간 항공기(여객기) 피해는 포함시켜놓고 훨씬 심각한 전투기 소음피해는 포함하지 않았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대책위는 "지난해부터 공항 인근의 항공기 소음피해 지역 주민들에게 7∼9월까지 3개월간 가구당 5만원의 냉방전기료를 지원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라며 "올해는 6∼9월로 기간과 지원대상이 늘어 총 154억원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김포, 제주, 김해, 울산 등 여객기 운항이 좀 더 많은 지역만 지원하고 가장 시끄러운 광주, 대구, 수원 등 전투비행장 인근 주민들은 예산을 핑계로 소외시켰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전투기 소음 피해를 구제할 수 있는 법률을 국회와 정부가 만들지 못 하고 있고 국방부와 지방정부 또한 소음피해 지역 주민들을 구제하기 위해 나서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소음피해지역 선정 시 전투기 운항 지역까지 확대하고 전체적인 소음 지역 범위도 확대해 전투기 폭음과 폭염에 시달리는 주민들에게 형평성에 맞는 보상과 지원을 하라"고 요구했다.
areu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