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들 동요 아직 적지만 '거래절벽·시장침체' 우려
(과천=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정부의 8·2 부동산대책으로 큰 타격을 받게 된 경기도 과천지역 부동산 중개업계와 일부 주민이 거래절벽을 우려하는 가운데 이 지역 재건축조합들도 3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긴장감을 감추지 않았다.
그러나 과천시는 현재 추진 중인 11곳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했다.
12개 아파트 단지 가운데 10개 단지에서 재건축 사업이, 1곳에서 재개발 사업이 추진 중인 과천시는 이번 정부대책에 따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면서 재건축 조합원 지위(입주권) 거래가 금지됐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8/02/PYH2017080232560006100_P2.jpg)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금지는 사실상 재건축 시장이 문을 닫게 할 정도의 강력한 규제로 인식된다. 조합설립인가 이후에는 조합원 지위 양도가 금지돼 아파트를 팔 수 없다.
과천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 분양이 예상되는 대부분 단지 아파트의 분양가가 3.3㎡당 3천만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전망되는 곳이어서 조합원 지위 양도금지가 부동산 거래에 미칠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각 단지 재건축조합 관계자들은 "아직 조합원들의 큰 동요는 없다"고 밝히면서도 부동산시장 침체를 우려했다.
재건축 사업 완료 단계인 철거가 한창 진행 중인 주공1단지 재건축조합 관계자는 "일반분양이 잘 될까 걱정하는 조합원들의 전화가 가끔 왔을 뿐 생각보다 큰 동요와 걱정은 없었던 것 같다"고 조합 분위기를 전했다.
주공1단지는 2015년 6월 17일 사업시행 인가, 지난해 3월 22일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거쳐 같은 해 7월 29일 조합원 1천여명의 이주가 완료됐다.
95% 진행된 철거가 완료되면 이달 중에 착공신고를 하고 본격적으로 재건축 공사에 들어간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정부가 조합원 지위 양도금지를 해놔서 거래를 아예 못하게 해놨다. 급히 매도할 분이 아니면 아파트를 팔려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면서 "전반적으로 거래절벽이 당분간 이어지겠지만, 현재로써는 마땅한 대응방안이 없다.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2월 이주가 완료된 주공6단지(조합원 1천200여명)도 주공1단지와 비슷한 반응이다.
주공6단지 조합 관계자는 "이미 노무현 정부 때 학습효과가 있어서 이번 정부대책에 대해 조합원들이 크게 동요하지는 않고 있다"면서 "조합에 문의 전화가 별로 오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 역시 "과천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일반분양이 계획돼 있는데 이번 정부대책으로 거래가 중단돼 시장침체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8/02/PYH2017080229960006100_P2.jpg)
과천시는 10개 재건축단지와 1개 재개발단지가 예정대로 사업을 진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 관계자는 "정부대책 발표 이후 재건축단지마다 알아본 결과 대부분이 당초 계획대로 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해 나가겠다는 답을 했다"면서 "정부의 정책에 대해 우리 시가 딱히 할 수 있는 게 없다. 단지별 추진상황을 잘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5월 1일 재개발 사업을 위해 추진위원회가 구성된 주암장군마을은 정부의 대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느라 분주하다.
지금까지 재개발 사업의 조합원 입주권에 대해서는 전매제한이 없었으나 이번 정부대책에 재개발 조합원 분양권 전매제한이 새로 도입됐기 때문이다.
주암장군마을 추진위 관계자는 "혹시 재개발 사업이 잘못될까 봐 걱정되긴 하지만, 아직 정확하게 어떤 영향을 줄지는 잘 파악되지 않는다"면서 "당분간 어떻게 상황이 돌아가는지 좀 살펴보고 그것에 맞게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주암장군마을은 오는 19일로 예정된 주민총회를 예정대로 개최해 정비업체와 설계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hedgeho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