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07/AKR20170807051700076_01_i.jpg)
(방콕=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로힝야족을 대상으로 한 미얀마군의 '인종청소' 논란을 조사해온 미얀마 정부 조사위원회가 인종청소 혹은 반인륜 범죄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려 논란이 예상된다.
7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미얀마 정부 조사위원회는 전날 최대도시 양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8개월간 진행한 로힝야족 학살 및 인종청소 논란에 관한 자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장을 맡은 민트 스웨 제1 부통령은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반인륜 범죄가 있었다는 유엔 보고서 내용은 여러 주장을 과장했고 국제사회에 혼란만 초래했다"며 "반인륜 범죄 발생 가능성은 없고 인종청소가 자행됐다는 증거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부 외국인들이 뉴스를 조작해 학살이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우리는 이에 대한 어떤 증거도 발견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뿐만 아니라 위원회는 유엔 보고서는 미얀마군의 무장세력 토벌작전을 유발한 무장세력의 폭력 행위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군인들의 행위에만 집중한 측면이 있다는 견해도 덧붙였다.
위원회는 로힝야족 주민들로부터 21건의 학살, 성폭행, 방화, 고문 신고를 접수했으나 이를 입증할 증거는 없었다면서, 개별 소송을 통해 법정에서 이 문제가 다뤄질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
이슬람교도인 로힝야족은 불교도 중심의 미얀마에서 국민 대접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기본권마저 박탈당한 채 비참하게 살아가고 있다.
미얀마군은 지난해 10월 방글라데시와 인접한 라카인주 마웅토의 경찰초소가 괴한의 급습을 받아 9명의 경찰관이 목숨을 잃자, 이 지역을 봉쇄하고 대대적인 군사작전에 들어갔다.
인권단체와 서방언론, 그리고 유엔 등은 로힝야족 주민의 주장을 토대로 군인들에 의한 민간인 학살이 있었으며 방화, 성폭행 등을 통해 로힝야족을 미얀마에서 몰아내려는 '인종청소' 시도가 있었다고 주장해왔다.
이 과정에서 수백 명이 목숨을 잃었고, 7만5천 여명의 로힝야족 난민이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도피했다고 인권단체 등은 지적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UN OHCHR)는 올해 2월 펴낸 보고서에서 미얀마군의 로힝야족 학살, 성폭행 등이 반인륜적인 전쟁범죄 수준으로 벌어지고 있다며 미얀마 정부에 즉각 탄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이어 3월 미얀마 정부의 격렬한 반대 속에 표결로 로힝야족 인종청소 의혹을 규명할 국제조사단 가동을 결정했지만, 미얀마 정부는 국제 조사단의 활동을 허용하지 않았다.
또 이런 국제사회의 비난 속에 미얀마 정부는 지난해 연말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러나 13명의 조사위원 가운데 피해자인 이슬람교도가 단 한 명도 포함되지 않은 데다, 위원장도 군부 출신의 민트 스웨 제1 부통령에게 맡겨 형평성 논란이 일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07/AKR20170807051700076_04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07/AKR20170807051700076_03_i.jpg)
meola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