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러지 분해하는 혐기성균 모두 사멸…원인 조사 중
균 재이식 비용만 5억여원…재가동 시점도 예측 못해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200억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들여 도입한 청주시의 '신재생에너지화 및 하수 슬러지 감량화 시설'이 가동 3개월 만에 멈춰섰다.
청주시는 즉각 원인 분석에 나섰지만 추가 예산 소요는 물론 재가동 시점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08/AKR20170808083100064_01_i.jpg)
8일 청주시에 따르면 흥덕구 옥산면 가락리 청주하수처리장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화 및 하수 슬러지 감량화 시설이 지난달 11일부터 가동을 중단했다.
지난 4월 13일 시설 준공 이후 3개월 만이다.
청주시는 2013년부터 하수 슬러지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그 대안으로 국비 116억4천만원, 도비 27억9천300만원, 시비 77억5천만원, 기금 10억9천800만원 등 총 232억8천100만원을 들여 이 시설을 도입했다.
이 시설은 하수 슬러지를 소화조에 있는 혐기성균(공기가 거의 없는 곳에서 번식하는 균)의 먹이로 제공하고,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로 보일러를 가동하는 친환경 공법을 활용한 것이다.
하지만 가동 3개월 만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혐기성균이 모두 사멸하면서 시설의 정상 운영이 어려워졌다는 게 청주시의 설명이다.
청주시와 이 공법을 개발한 업체 측은 즉각 원인 분석에 나섰다.
현재로써는 준공 전 7개월간 업체 측의 시범운영 때 아무런 문제가 없었던 만큼 청주시가 직영에 들어간 후 혐기성균의 생육 조건을 맞추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청주시는 정확한 진단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일단은 시설 재가동을 미루기로 했다.
이 때문에 이 기간 발생하는 하수 슬러지를 소각하거나 위탁 처리하는 비용 지출이 불가피해졌다.
향후 시설 재가동을 위해 혐기성균을 새로 들여오는 비용 역시 5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주시 관계자는 "같은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일단은 원인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며 "빨리 시설이 정상 가동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jeon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