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무역보험 지원 심사시스템이 고용 창출과 미래 신(新)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추는 쪽으로 개편된다.
한국무역보험공사는 최근 새 정부가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과 관련해 이 같은 세부 추진 계획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무역보험공사는 우선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인수심사 시스템을 개편해 '수출을 통한 기업의 고용창출 효과'를 중점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장이 직접 이끄는 '좋은 일자리 만들기 태스크포스(TF)'도 구성했다. 이 TF에서는 무역·투자거래 관련 고용 창출 효과 평가 방법, 무역보험의 일자리 창출 기여 방안 등을 논의한다.
또 관련 보고서도 매년 발간할 계획이다.
무역보험공사는 미래형 신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지원 한도를 책정할 때 과거처럼 재무제표 등 실적에만 의존하기보다 산업 전망과 기술력(R&D나 특허) 등 미래 성장성 중심으로 심사체계를 전환한다.
무역보험공사는 우리 기업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기업을 인수·합병할 경우 '해외사업금융보험'을 통해 금융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해 신산업 분야에 7조8천억원을 지원한 무역보험공사는 앞으로 이 규모를 더욱 늘려나갈 계획이다.
주력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방안도 추진된다.
우리 중소·중견 수출기업이 화장품 등 유망 소비재를 수출할 경우 보험 인수 한도를 최대 1.5배 우대하고 보험료도 25% 할인해줄 계획이다. 소비재 상품 수출 촉진을 위한 바이어와 미팅 등도 추진된다.
문재도 무역보험공사 사장은 "청년층 고용절벽, 주력산업 구조조정 등을 고려하면 지금이 우리 경제가 재도약할 마지막 골든타임"이라고 밝혔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