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서 광주·전라·제주권 공청회…고성 오간 1차와 달리 차분히 진행
(세종 광주=연합뉴스) 고유선 박철홍 기자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공청회에서 단계적인 절대평가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과 전면 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팽팽히 맞섰다.
교육부는 16일 전남대에서 수능 개편안에 대한 전문가와 학부모·시민단체의 의견을 듣기 위해 두 번째 권역별(광주·전남·전북·제주) 공청회를 열었다.
교육부는 현재 2개인 절대평가 영역을 4개로 늘리는 시안(1안)과 7개 영역 모두를 절대평가 하는 안(2안)을 발표하고, 지난 11일 서울교대에서 첫 공청회를 연 바 있다.
신병춘 전남대 수학과 교수는 정부의 개편안이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준비가 미흡한 상태에서 급격한 변화는 지나친 혼란을 야기한다. 점진적 개편이 충격을 완화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모든 과목의 절대평가는 2024학년도에 도입하고, 고교 내신성적까지도 절대평가 할 것을 제안한다"며 "대학 역시 2024학년도까지 (수능을 대신할) 입학전형을 개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철수 안남고 교감 역시 "2021학년도 수능 절대평가는 1안으로 가되 기한을 두고 2안을 시행하거나 수능을 폐지하는 것"이 낫다고 밝혔다.
그는 "수시모집이 점진적으로 확대된 것처럼 수능 절대평가도 점진적 확대 시행으로 교육현장의 충격과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며, 이럴 경우 '입시절벽'을 마주한 현재의 고1 학생이 대학 진학에 실패할 경우 최소한의 변화에 적응할 기회를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절대평가 전면 도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임진희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장은 "1안은 국어·수학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 초·중등교육을 왜곡시킬 우려가 크고 사교육 시장을 팽창시킬 것"이라며 점진적 개편안에 반대했다.
또 등급기준을 현행 9등급제를 5등급으로 완화할 것과 현재의 학생부종합전형이 성적과 경제력이 뒷받침되는 소수의 학생에게 편리한 전형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문동호 광주여고 교사도 "1안은 기존 수능과 비슷해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크지만 수업 혁신에 한계가 있다"며 "수능 절대평가가 전면 시행될 경우 대학이 학생 선발에 어려움을 겪겠지만 학생부와 수능의 조합을 활용해 새 전형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능-EBS 연계에 대해서는 축소·폐지 의견이 많았다.
손철수 인천 안남고 교감은 "EBS 연계가 사교육비 절감과 낙후지역 학생 배려 차원에서 도입됐지만 지금은 교육과정 황폐화의 주범이 됐다"며 "EBS 연계는 문제풀이 중심의 수업을 주도하고 있어 (창의·융합 수업을 강조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양립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발제와 토론이 끝난 후 이어진 질의응답은 고성이 오간 서울 지역 1차 공청회와 달리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졌다.
절대평가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교실수업 혁신이라는 교육과정 목표와 상충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울에서 사교육에 종사하는 한 남성은 수능 등급제가 사교육을 줄이지 못한 사례를 들며 "절대평가 도입이 오히려 사교육 확대 등 풍선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육단체 '사교육 없는 세상'의 한 활동가는 "2021년도 수능 시안은 2015년도 개정 교육과정 정책 목표인 교실 수업 혁신안과 상충하는 안"이라고 비판했다.
또 교육 관련 단체 한 회원은 "평가의 목적과 방법이 다른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를 섞어 쓰는 곳은 어느 나라도 없다"며 "수능을 전면 절대 평가해 학교가 제대로 돌아갈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공청회에 참석하기 위해 전남 신안의 한 섬에서 왔다는 한 특성화고 교사는 "수능 개편안에 특성화고 학생들의 선택권이 없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공청회의 질의응답은 참석자의 질문만 듣고 구체적인 답변은 하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돼 이에 대해 일부 참석자들이 불만을 제기하기도 했다.
교육부는 오는 18일 부경대, 21일 충남대에서 공청회를 연 뒤 31일 수능 개편안을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cindy@yna.co.kr pch8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