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간 끌어온 낙동강 대구 취수원 상류 구미로 이전 물꼬 틀까

입력 2017-08-24 07:01  

8년간 끌어온 낙동강 대구 취수원 상류 구미로 이전 물꼬 틀까

정치권 잇따라 해결책 촉구…민주당 TK특위 대구서 토론회 열어

대구시 가뭄 탓에 낙동강 수돗물 공급 비중 늘려…"맑은 물 확보 필요"



(대구=연합뉴스) 최수호 기자 = 대구시가 안전한 식수 확보를 위해 8년째 추진 중인 취수원 이전이 해결 실마리를 찾을지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대구 여·야 국회의원이 잇따라 정부에 이전 해법 마련을 촉구하고 나선 까닭에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대구·경북 특별위원회는 24일 대구시청 별관에서 대구 숙원인 낙동강 취수원 이전을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민주당 특위 위원, 국무총리실·국토교통부·환경부 관계자, 대구시·구미시 관계자 등 18명이 참석해 2시간 동안 자유토론을 한다.

대구가 지역구인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들도 최근 정부에 "취수원 이전 문제 해결에 의지를 갖고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하는 등 해법 찾기에 힘을 쏟고 있다.

대구시는 2009년부터 70% 시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달성군 다사읍 매곡·문산 취수장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했다.

낙동강 상류에 있는 구미공단 등에서 배출하는 유해 화학물질이 하류 매곡·문산 취수장 원수를 오염시켜 시민 안전을 위협한다는 우려에서다.

실제 1991년 발생한 낙동강 페놀 사태 때 구미 구포동 두산전자 저장탱크에 보관하던 페놀 원액 30t이 사고로 새 나와 낙동강에 흘러들었다. 오염된 물은 낙동강 하류 50㎞ 정도 떨어진 대구 취수장에도 들어왔다.

이 때문에 대구 시민이 마시는 수돗물에서 코를 찌르는 악취가 발생하는 등 식수 대란이 일어났다.

그 뒤에도 낙동강서는 1994년 1월 벤젠과 톨루엔 검출, 2006년 7월 주요 취수장에서 유해물질인 퍼클로레이트 검출 등 잊을 만하면 수질오염 사고가 일어났다.

2015년 2월 국토교통부도 '경북·대구권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 검토보고서'에서 대구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거나 구미 낙동강 변 여과수를 개발한 뒤 대구·구미가 물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2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국토부는 취수원 이전을 위해서는 대구-구미 해평취수장 55㎞ 구간에 관로를 매설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용은 3천300억원 가량이 들 것으로 판단했다.

강변여과수 공동 사용으로는 해평취수장 상류 1㎞ 지점 낙동강 변에 물을 모으는 우물(취수정)을 설치한 뒤 하천 바닥 모래층을 뚫고 여과한 물을 상수원으로 쓰는 방식을 제시했다. 취수정 건립, 관로 건설 등에 4천9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대구시는 이 같은 국토부 용역 결과에 "맑은 물을 마실 방안이 나왔다"고 반겼으나 구미시는 "해평취수장을 공동 사용하면 수량이 줄고 수질이 나빠진다"는 등 이유로 반대했다.

이에 대구와 구미는 2015년 3월부터 민·관 협의회를 구성해 작년 11월까지 9차례 머리를 맞댔으나 해법 찾기에 실패했다.

최근 가뭄으로 대구 일부지역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청도 운문댐 저수율이 30%대에서 20%대로 떨어지자 시는 2차례 수계 조정을 해 낙동강을 원수(原水)로 한 수돗물 공급 비중을 기존 70%에서 80%로 확대했다.

자칫 운문댐 저수율이 20% 아래로 내려가 3차 수계 조정을 하면 대구 시민에게 낙동강 수돗물을 공급하는 비중은 더 늘어날 수 있다.

또 환경단체 등은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 곳곳에 보를 설치한 탓에 과거보다 녹조가 빈번히 발생하는 등 수질 오염 가능성이 과거보다 더욱 커졌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대구 시민은 "수돗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취수원을 낙동강 상류로 이전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2년 전 한 설문조사 기관이 대구에 사는 성인 남녀 1천명을 상대로 한 면접 조사에서 73.7%가 이전 필요성에 공감했다. 또 81.7%가 구미공단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구미시 측은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취수원 이전이 타당한지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취수원 이전이 워낙 민감한 사안이라 해결책 마련을 위해 정치권과 중앙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su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