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경찰청, 인터넷 자살 유해정보 모니터링
(세종=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자살을 부추기며 방법을 안내하고,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동반자살을 모집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산하 중앙자살예방센터의 자살 유해정보 모니터링단 '지켜줌인(人)'과 경찰청 사이버 범죄 모니터링단 '누리캅스'는 지난 7월 12∼25일 인터넷상의 자살 유해정보를 집중적으로 발굴해 총 1만2천108건을 신고했다.
발견된 자살 유해정보는 자살을 부추기는 내용이 6천245건(51.6%)로 가장 많았고 동반자살 모집 2천413건(19.9%), 자살방법 안내 1천667건(13.8%), 독극물 등 자살 도구 판매 1천573건(13%), 자살 관련 사진·동영상 게재 210건(1.7%)이었다.
자살을 부추기는 내용은 커뮤니티(2천683건·42.9%)나 포털사이트(2천336건·37.4%)에 많이 올라왔다.
동반자살 모집은 SNS(2천332건·96.6%)에서 주로 이뤄졌다.
자살방법을 안내하는 내용은 커뮤니티(1천30건·61.7%)에 가장 많았고, 독극물 등 자살 도구 판매는 기타 사이트(965건·61.3%) 외에 SNS(521건·33.1%)에서도 많이 이뤄졌다.
이번에 발견된 자살 유해정보 중 46.2%인 5천596건은 운영자 등에 의해 삭제 조처됐다. 자살방법을 안내하는 내용은 68.7%가 삭제됐지만, 동반자살을 모집하는 내용은 삭제율이 23.8%에 그쳤다.
복지부의 '자살예방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책임자인 서강대 유현재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국민 62%는 '일부 SNS의 자살 관련 내용이 자살을 희화화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죽고 싶다', '자살각' 등의 표현이 자살을 '조금만 힘들면 쉽게 할 수 있는 행동'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또 SNS의 자살 관련 내용을 '생생하다', '사실적이다'라고 느끼는 비율도 각각 절반(48.8%)에 가까웠다.
유 교수는 "SNS를 통해 특히 위험한 동반자살 정보가 빈번하게 유통되는데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법이 없다"며 "복지부와 경찰이 더욱 긴밀한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트위터 등 SNS 운영업체들의 자발적인 협조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이번 신고대회에서 자살 유해정보 발굴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고등학교 교사 한승배(52) 씨와 자살 유해정보 신고대회 수기 공모전에서 선정된 민상은(24) 씨에게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여한다.
한 씨는 10여 년 전 제자가 인터넷에서 만난 사람들과 죽음을 선택했던 경험 이후 인터넷상의 청소년 유해정보 신고 활동을 지속해 오고 있으며, 아버지의 자살 이후 간호학과에 진학한 민 씨는 자살 시도로 병원을 찾는 사람과 가족, 친구들을 마주하며 모니터링단에 참여한 경험을 전했다.
mih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