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교환 메시지 발표, 靑서 외교부로 격 낮춰
한·중 기념행사 '따로' 열어…외교장관들 불참
文대통령 "북핵 中역할론"·시진핑 "이견 처리" 평행선
'북미 대화무드→한반도 긴장완화→사드추가배치 보류' 관측도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박경준 기자 = 청와대는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은 24일에도 대(對)중국 외교를 놓고 여전히 '로우키'를 유지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의 높은 파고 속에서 중국과의 관계를 풀 획기적인 해법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는 외교적 상황을 고스란히 반영하는 분위기다.
양국은 '수교 사반세기'를 축하하는 기념행사를 각각 따로 개최했고 행사 참여자 면면도 과거보다 격이 떨어지면서 일견 초라한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같은 미묘한 '기싸움' 양상으로 인해 경색된 양국 관계는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일단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은 이날 축하 메시지를 교환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를 외교부를 통해 발표하는 형식을 취했다.
통상 정상 간 메시지는 청와대 대변인 명의로 발표하는 게 관례다. 표면적인 축하메시지 교환 속에서 한중관계의 현주소를 고스란히 드러낸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메시지에서 한중관계를 매우 중요시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실질적인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지속 발전시켜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존 대중 메시지에서 후퇴한 것도 더 나아간 것도 없었다는 분석이다.
오히려 문 대통령은 엄중한 북한 핵·미사일 도발 국면에서 '중국 역할론'을 지속해서 강조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초 독일 함부르크에서의 한중정상회담에서 중국의 강화된 역할을 요구한 데 이어 지난 21일 미국 상·하원 의원들을 접견한 자리에서도 "북한 경제가 전적으로 중국 교역과 지원에 의존하는 것을 감안할 때 중국 역할이 중요하다"고 재차 거론했다.
시 주석도 축하메시지에서 한중관계를 중시하고 있다고는 했지만 "이견을 타당하게 처리하며 한중관계를 안정적이고 건강하게 발전시켜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사드로 인한 양국 갈등을 한국이 풀어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이 역시 지난달 한중정상회담에서의 시 주석 언급과 동일하다.
양국 정상이 한중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큰 틀에서는 의견을 같이하면서도 각각 '중국 역할론'과 '이견 처리'로 강조점을 달리하는 셈이다.
이날 주중 한국대사관 주최로 열리는 기념행사에는 완강 중국 정치협상회의 부주석 겸 과학기술부장이 참석한다. 완 부주석은 장관보다 한 단계 높지만 한반도 문제와 무관한 인사라는 점에서 중국이 기본적인 의전을 지키면서도 사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명한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전날 중국에서 열린 중국 측 기념행사에 중국 외교부장 등 현직 주요 인사가 아닌 전국인민대표회의 부위원장이 주빈으로 나오는 등 격이 떨어진 것과 마찬가지다.
이 행사는 초청 인사가 100여명에 불과했고, 1시간 반 만에 끝났다.
주중 한국대사관 행사와 동시에 주한 중국대사관에서 이날 열리는 기념식에는 정세균 국회의장과 함께 청와대에서 장관급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참석한다. 외교·안보 컨트롤타워인 정 실장의 참석은 중국 측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관계 개선 메시지 발신으로 평가된다.
다만 외교부에서는 대중 관계의 공식 카운터파트인 강경화 장관 대신 임성남 1차관이 대리 참석한다.
이처럼 수교 25주년이라는 잔칫날이 사드 여파로 썰렁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청와대는 다소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핵 문제가 얽혀있는 현 상황에서 사드 배치 철회라는 중국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다만 청와대는 한중관계를 본궤도로 진입시켜야 한다는 원칙적인 입장은 고수하고 있다. 그 계기가 언제가 될지, 어떤 방식으로 풀어야 할지는 숙제로 안고 있다.
일각에서는 최근 북한과 미국 간의 대화국면 조성 조짐이 한중관계의 물꼬를 틀 단초로 해석하기도 한다. 북미 간에 대화 무드가 무르익어 한반도 긴장도가 떨어진다면 사드 추가 배치 보류 조치와 이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 철회 등으로 한중관계에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시각이다.
문 대통령이 북한의 잇따른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도발에 사드 추가배치를 지시한 이면에는 이를 대중 관계 개선 카드로 활용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은 그래서 나온다.
honeyb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