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정 한양대 교수 "휴대전화·드론 전원 공급에 이용"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한국과 미국 공동연구진이 잡아당기거나 꼬아주면 전기를 생산하는 실을 개발했다.
김선정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팀은 미국 텍사스대와 공동으로 '트위스트론(twistron)'이라는 실을 제작하고, 이 실의 전기 에너지 생산 능력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실렸다.
트위스트론 실은 신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를 꼬아 만든다. '트위스트론'이라는 이름도 '트위스트'(twist·꼬다)에 접미사 '-트론'(-tron·기구)을 더한 용어로, 꽈배기처럼 꼬인 실의 형태를 묘사한 것이다.
실의 지름은 60∼70㎛(마이크로미터·1㎛=100만 분의 1m)로 사람 머리카락 굵기(약 100㎛)보다 가늘다. 꼬임 구조로 인해 탄성이 생겨, 원래 길이의 1.3배 정도로 늘어난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24/AKR20170824119900017_01_i.jpg)
트위스트론 실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은 단순하다.
실을 전해질 속에 두고 잡아당기거나 꼬아주기만 하면 된다. 실의 부피와 함께 전하 저장용량이 줄어드는데, 이때 실이 전하를 밖으로 내놓는 과정에서 전류가 생긴다.
트위스트론 실 19.2mg에서 나오는 전기 에너지로는 2.3V짜리 LED(발광다이오드) 전구 1개의 불을 밝힐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실 1kg을 초당 30회의 속도로 잡아당겼다 펴면 250W(와트)의 전력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24/AKR20170824119900017_05_i.jpg)
이어 연구진은 실이 스스로 수축·이완하며 전기를 생산하도록 만드는 방법도 여러 실험을 통해 제안했다.
한 가지는 '파도'의 힘을 이용하는 것이다. 연구진이 풍선에 이 실을 매달아 경포대 해변에 두자, 풍선의 움직임이 파도에 따라 달라질 때마다 실이 수축·이완 운동을 하며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24/AKR20170824119900017_03_i.jpg)
온도 변화에 의해 움직이는 나일론 인공 근육에 실을 연결한 방식도 있다. 인공 근육이 움직이면 실도 따라 움직이게 돼 전기 에너지가 생겼다.
마지막으로 티셔츠의 가슴을 이 실로 꿰매뒀는데, 사람이 호흡할 때마다 실이 신축운동을 하며 전기 신호를 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24/AKR20170824119900017_04_i.jpg)
연구진은 이를 통해 트위스트론 실이 열이나 다른 물체의 운동에너지 등을 수확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터'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실의 지름을 넓히거나 여러 개 연결하는 등의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고 전했다.
김선정 교수는 "기존 배터리와 달리 이 실은 무제한의 전기 에너지를 반영구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라며 "해양에서 전기를 대량으로 생산하거나, 휴대전화 및 드론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등 다양하게 응용되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24/AKR20170824119900017_02_i.jpg)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