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조사·수집 TF 2차 회의…"전당도 보유자료 공개해야!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최후의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을 항쟁 당시 모습으로 복원하기 위한 설계도면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25/AKR20170825126200054_01_i.jpg)
옛 전남도청 자료조사 및 수집 TF(전담반)은 25일 2차 회의를 열어 참여 기관별 활동 경과를 보고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지난달 18일 출범한 TF는 전남 무안군 남악신도시로 이전한 전남도청을 방문해 현장자료수집 활동을 벌였지만, 1930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설계도 외 다른 도면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했다.
모두 8장인 설계도는 한국 근·현대 대표적 건축가인 김순하(1901∼1966)씨가 그린 것으로 1997년 문화재로 지정, 2006년 언론에 공개됐다.
항쟁 당시 도청 건물은 수차례 증·개축을 거쳐 1930년대 도면을 바탕으로 원형 복원 계획을 세우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전남도는 1970∼1990년대 촬영한 사진을 시기별로 분류하고 정리해 도청 복원에 필요한 자료를 찾고 있다.
도청에서 열렸던 행사 사진에서 옛 모습을 고증할 자료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5·18 기념재단 및 민주화운동기록관 등도 보유자료 목록을 정리하고 있지만, 유의미한 성과를 얻어내지 못한 상황이다.
TF는 옛 도청과 부속 건물 6개를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촬영한 사진이 존재할 것으로 보고 전당 측에도 자료 제공을 요구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25/AKR20170825126200054_02_i.jpg)
중앙정부에는 군 당국과 사법·정보기관이 소장하고 있을지 모를 문서 확인과 제출을 요청했다.
TF 관계자는 "전당 측이 보유한 자료도 공개해야 한다"며 "오는 28일 도종환 문체부 장관이 현장을 방문할 때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옛 도청 본관과 부속 건물을 증·개축한 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은 1980년 5월 당시 시민군 상황실과 방송실이 철거되는 등 역사현장 훼손 논란에 휩싸였다.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