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연합뉴스) 이광빈 특파원 = 독일 정부가 베를린 기차역인 쉬트크로이츠역에서 테러리스트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사법 당국은 이달 초 시작된 실험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홍보한 반면, 시민단체들은 프라이버시 침해 등을 이유로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25일(현지시간)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 등에 따르면, 이번 실험은 쉬트크로이츠역 입구와 에스컬레이터 등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를 통해 실험 참가자 300명을 대상으로 안면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감시카메라에 찍힌 화면은 쉬트크로이츠역의 관제실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참가자들의 사진과 대조된다. 참가자들은 당국이 제공한 중계기를 휴대한다.
이에 쉬트크로이츠역에선 시민단체들이 가발과 마스크 등을 쓰거나 신문으로 얼굴을 가린 채 카메라 근처를 배회하는 등 항의 표시를 하고 있다.
시민단체 활동가인 파울 게르스텐코른은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프로젝트가 허용하는 것 이상으로 국가가 광범위하게 시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독일 데이터보호위원회의 안드레아 보스호프는 중계기가 순간적으로 인터넷에서 이용 가능한 프리웨어를 통해 정보를 수집해 전송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찰이 실험 참가자들한테 중계기 기능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고, 실험을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토마스 데메지에르 독일 내무부 장관은 "이 같은 기술이 좀도둑이 아니라 테러리스트를 잡는 데 사용된다"고 이번 실험을 옹호했다.
데메지에르 장관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한다면 국민 안전을 놀라울 정도로 증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일반인의 영상은 즉시 삭제된다고 설명했다.
독일 정부는 6개월에 걸쳐 실험을 진행한 뒤 전 국가적으로 기차역을 비롯한 공공장소에 안면인식 시스템을 설치할지 결정할 방침이다.
lkb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