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권영석 기자 = 중국 주류업체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台)가 양조 전문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설립한 '마오타이대학'이 내년 초 문을 연다.
구이저우마오타이는 15억위안(2천540억원)을 투입해 학생 정원 5천 명인 대학을 설립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27일 보도했다.
마오타이그룹 본사가 위치한 구이저우성에 세워지는 마오타이대학은 양조 공정, 포도 경작, 식품 안전, 마케팅 등을 학생들에게 교육할 예정이다.
마오타이그룹은 중국 고급 바이주(白酒)의 대명사인 마오타이를 제조하는 업체로 중국 정부의 반부패 사정에도 불구하고 시가총액 기준 세계 1위 주류회사다.
심각한 인력난에 직면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은 내부 교육 프로그램을 가동하는가 하면 마오타이대학처럼 졸업생 고용을 위한 직업학교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는 직업학교가 한때 우대받았으나 1990년대 후반 '세계적 수준의 대학'을 만들자는 움직임이 일면서 학생 수가 줄어들며 시들해졌다.
따라서 우수한 학생들이 직업학교보다는 일반 대학으로 몰려들며 지난 2011~2015년까지 500여개의 대학이 새로 생겨나 연간 500만명의 대졸자들을 배출했다.
중국에 대학 졸업자들이 과잉 공급되면서 학위의 가치가 희석되고 청년들의 임금 수준이 하락했으며 전공과는 상관없는 직종에 진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미국 비정부기구(NGO)인 '중국노동감시(CLW)' 연구원 키간 엘머는 "졸업생 공급 과잉과 취업난, 전문인력 구인난도 있지만 근로조건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4년 청년 실업률을 우려해 오는 2020년까지 직업학교 정원을 293만명에서 383만명으로 증원하는 등 직업훈련 강화로 교육정책을 되돌렸다.
중국 청두(成都)의 교육연구가 겸 작가인 장쉐친은 "지난 20여 년간 최하위 학생들이 직업훈련을 받았으며 직업학교는 교도소처럼 운영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은 이 교도소 같은 직업학교들을 이제 기업체의 허브로 전환하려 하고 있다"면서 "이는 불가능한 작전"이라고 지적했다.
마오타이대학은 이번에 설립하는 직업학교에 대학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13만㎡ 넓이의 캠퍼스를 조성하고 도서관에는 50만여권의 책을 채우기로 했다.
yskwon@yna.co.kr
(끝)
![](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7/08/21/PEP20170821102501003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