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신청사 이전 앞두고 옥동청사 매각 방침…감정액 400억원대
울산남구, 구민회관 건립 희망하지만 재원 못 구해…군, 민간매각 고려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울산에서 부동산 가격이 매우 높은 남구 옥동의 중심 금싸라기 땅에 어떤 건물이 들어설까.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3/02/04/PYH2013020404670005700_P2.jpg)
옥동에 있는 울주군청사가 올해 연말 청량면 신청사로 이전함에 따라, 현 청사 부지 활용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옥동 청사는 왕복 6차로인 문수로와 접한 데다 울산대공원과도 가까운 입지 덕분에 땅값이 비싼 옥동에서도 노른자위로 꼽힌다.
그런데 이 청사 부지의 활용방안은 수년간 오리무중이다.
남구는 이 땅을 사들여 구민을 위한 공공시설로 활용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막대한 재원을 마련할 방안이 없어 속앓이만 하고 있다.
부지 처분이 급해진 울주군은 민간에 매각하는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 "우리가 사겠다" 공언한 남구, 400억원대 가격에 발목
울주군은 1962년 울산시 승격 당시 현재 중구 북정동에 청사를 뒀다가, 1979년에 현재 옥동 자리로 옮겼다.
남구에서만 40년 가까이 더부살이를 하는 셈이다.
군은 2007년 청사를 군 지역으로 이전하기로 하고,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2010년 청량면 율리를 신청사 부지로 결정했다. 2015년 10월 착공된 신청사는 오는 12월께 준공, 이전을 마칠 예정이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공공청사인 현 청사 건물과 부지는 도시계획시설상 그대로 공공청사 용도로 활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남구는 2015년 11월 '군청사 부지를 사들여 문화복지시설인 구민회관을 짓겠다'는 뜻을 군에 전달했다.
청사 활용방안을 고심하던 군이 소재지 행정기관인 남구에 먼저 의견을 물은 데 따른 답변이었다.
그러나 부지 매각을 위한 후속 절차는 한 발짝도 진척되지 못했다. 재원 확보 방안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군이 올해 3월 가감정한 결과에 따르면 청사 부지 1만1천㎡의 매각가격은 438억원에 달한다.
한 해 가용예산이 100억원 안팎인 남구로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금액이다.
특히 군은 매각대금을 일시불로 받기를 원하고 있어 남구로서는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군은 '청사(부지) 매입 계획을 회신해 달라'고 수차례 남구에 요청했으나, 남구는 '구민회관을 지으려 하는데, 대금을 일시불로 지급하기는 어렵다'는 것 외에는 별다른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5/02/26/01/C0A8CA3C0000014BC358D3A700003C89_P2.jpeg)
◇ "못 기다린다"는 울주군, 민간매각 수순 밟아
군은 남구에 부지를 매각하는 일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판단, 민간에 넘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군은 9월에 '옥동청사 활용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 용역은 공공과 민간 용도를 포함해 청사의 활용방안을 연구하는 것인데, 사실상 민간 매각 추진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군으로서도 매각이 지연되면 적잖은 손해가 불가피하므로 후속 절차를 서두를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가령 400억원대의 대금을 받아 이를 운용하면 이자수익을 올릴 수도 있고, 자체 사업에 활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약 없이 매각이 미뤄지면 아무런 이익도 얻지 못한 채 빈 건물만 관리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오히려 현재 공공시설인 청사 부지를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해 민간에 매각한다면, 부지 감정가격은 더 오르고 경쟁입찰을 거쳐 매각대금은 천정부지로 치솟을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군이 청사 부지를 이용해 '부동산 장사'를 한다는 곱지 않은 평가가 뒤따를 수 있다.
군도 "공공청사 부지는 시민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남구에 매각하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군이 민간매각을 결정하더라도 난관은 있다.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을 변경하려면 관할 자치단체인 남구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남구의 의견이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시 말해 민간매각이 부적절하다는 점을 근거로 남구가 용도지역 변경 시도를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군과 남구의 역학관계가 묘하게 얽히는 대목이다.
남구는 그러나 부지가 민간에 넘어가는 일 없이 계획대로 매입, 주민을 위한 문화시설을 건립하겠다는 의지가 분명하다.
남구 관계자는 28일 "군청사가 남구에서 수십 년간 더부살이를 한 점을 고려해서라도 주민이 활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을 건립하는 것이 옳다"면서 "재원 마련을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울주군 관계자는 "남구에 매각을 최우선으로 고려했으나, 매입 계획에 대한 수차례 요구에도 구체적인 답이 없는 상황이다"면서 "당장 연말이면 청사를 이전하는데 남구의 대답만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어 일반 매각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hk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