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지방분권·국가균형발전·신행정수도 건설 과제를 위해 2002년께 조직된 충청권 시민단체 연대 모임이 '행정수도 완성 충청권 공동대책위원회'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재개하기로 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29/AKR20170829108500063_01_i.jpg)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충남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 행정수도 완성 세종시민대책위원회 등으로 구성된 행정수도 완성 충청권 공대위는 29일 오후 세종시청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세종시가 행정수도라는 법적 지위 확보를 위해 공조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행정수도 완성 충청권 공대위는 "신행정수도 위헌 사태와 백지화 논란 등 국면에서 공대위는 전국 분권 운동 진영과 함께 풍찬노숙을 마다치 않고 앞자리에 서 왔다"며 "2030년 세종시 완성 단계에 이를 때까지 조직을 유지하기로 한 합의를 지키고자 힘을 다시 모으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공대위는 "국회 분원과 청와대 제2집무실 설치를 통해 세종시가 행정수도 지위와 역할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행정중심복합도시 정상 건설과 충청권 상상발전을 위한 광역도시계획의 실질적인 집행을 위해 충청권 민·관·정의 참여를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