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우리나라 수산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꿀 연구가 내년부터 시작된다.
30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내년 예산에 '생태계 기반 수산자원 변동 예측 기술 개발' 연구사업비 38억원을 반영했다.
이 연구사업은 갈수록 줄어드는 연근해 수산자원의 변동 원인을 규명하고 중·장기 변동 예측의 정확도를 높여 효율적으로 자원을 관리하고 이용하는 게 목적이다.
연근해 어업생산량은 1980년 137만t, 1990년 147만t에 달했으나 2000년 119만t, 2010년 113만t, 2015년 106만t으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93만t에 그쳐 100만t 수준이 무너졌다.
해수부는 사물인터넷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생태계 기반 수산자원 변동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맞춤형 수산정보 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립수산과학원이 내년부터 5년간 기후변화와 인위적 요인에 따른 연근해 생태계 구조변동 평가기술, 한국형 생태계 변동 예측 모델,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산정보 플랫폼 개발을 진행한다.
바다는 육지보다 변화가 심하고 훨씬 넓고 깊어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기가 쉽지 않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이러한 바닷속 변화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가 미흡해 겉으로 드러나는 어획량 등을 토대로 수산자원을 파악하고 예측해 어종별로 잡을 수 있는 한도와 금어기 등을 설정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바닷속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면 수산자원의 종류와 양이 어떻게 바뀌는지 제대로 알고 대처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친 세밀한 조사와 그 결과물을 분석해서 유용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빅데이터'가 필요하다.
수산과학원은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 등 해양관측자료와 최근 수십 년간의 수산자원·어장환경·근해어업·적조·패류독소·해파리·심해생태계·수산자원보호구역·생물위해요소 등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갖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태계의 기초가 되는 먹이 생물인 플랑크톤의 분포, 어류의 알이 부화해서 성어가 되기까지 성장단계별로 미치는 기후영향 등에 관한 조사와 자료는 아직 미흡하다.
이미 확보한 자료들도 연계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활용도를 높이려면 보완이 필요하다.
수산과학원은 기존 자료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사물인터넷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무인관측 등으로 지금보다 훨씬 종합적이고 세밀하게 해양기후와 바다 생태계의 변화를 조사해 빅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 결과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분석을 통해 수산자원 변동의 원인을 분석하고 중·장기 예측모델을 개발할 방침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수온, 해류, 먹이 생물 등 해양생태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수산생물의 종류와 개체 수, 생물 간 경쟁, 서식장소, 이동 경로 등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해역별로 물고기의 알이 부화해서 치어, 자어 단계를 거쳐 상품성 있는 크기로 자라기까지 수온, 먹이 생물, 영양염류 등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할 수 있다면 어종별 생산성을 미리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어민들에게 물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는 장소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반대로 자원량이 감소한 물고기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금어기를 재설정해 자원을 보호할 수 있다.
어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자원도 보호하는 일을 동시에 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주도하는 수산과학원 서영상 기후변화연구과장은 "지금까지 수산정책이 어획량 등 결과를 토대로 바닷속 변화를 짐작하는 톱다운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바닷속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먼저 알아내고 이를 토대로 자원변화를 예측하는 보텀업 방식으로 전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lyh950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