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큐브랩과 'NB-IoT 스마트 수거관리' 확대구축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LG유플러스[032640]가 사물인터넷(IoT)용 통신기술의 일종인 'NB-IoT'에 바탕을 둔 스마트 쓰레기 수거관리 시스템을 전국 곳곳에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스마트 쓰레기통 시스템 개발업체 이큐브랩과 'NB-IoT 네트워크 기반 상품 개발 및 공동 마케팅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양사는 스마트시티 시범 서비스로 고양시에 구축 중인 NB-IoT 스마트 쓰레기 수거관리 시스템을 서울, 부산, 제주, 전주 등에도 구축키로 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31/AKR20170831052200017_01_i.jpg)
양사의 스마트 쓰레기 수거관리 시스템은 센서가 달린 대로변과 주택 밀집 지역 쓰레기통에 쓰레기가 얼마나 쌓였는지 파악해 NB-IoT 전용망을 거쳐 각 지자체 관제센터와 관할 환경미화원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태양광 에너지로 구동되는 '압축 쓰레기통'은 쓰레기가 쌓이더라도 넘치지 않도록 자동으로 압축해 주므로 기존 가로변 쓰레기통보다 최대 8배 더 많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화재 감지 기능도 있다.
쓰레기 수거차량에는 GPS와 비콘이 설치돼, 관제센터는 수거차량의 실시간 위치와 수거결과를 지도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자체들은 예측 알고리즘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역별 쓰레기 발생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수거차량과 환경미화원을 배치할 때 이를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 김영만 NB-IoT 담당은 "양사의 이번 사업협력은 전국 지자체 도시환경 사업에 NB-IoT 기술과 솔루션을 보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큐브랩 권순범 대표는 "LG유플러스와의 긴밀한 기술협력을 통해 일반 쓰레기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 건물 내 쓰레기, 산업 폐기물 등 다양한 수거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NB-IoT 도입을 추진 중인 해외 20여개국에서 글로벌 사업화를 공동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solatid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