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일제때 건물이 그대로…돈의문마을 내달 2일 시민 맞는다

입력 2017-08-31 10:00  

한옥·일제때 건물이 그대로…돈의문마을 내달 2일 시민 맞는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주요 무대…도시건축 중심지로 부활

건물 30개 곳곳에서 전시회…비엔날레 식당·카페도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강북삼성병원이 들어서 있는 서울 종로구 돈의문(서대문) 터 옆마을은 '새문안'이라고 불렸다.

사직단 근처에 세웠던 서전문(西箭門)을 세종 4년인 1422년 헐고 지금의 강북삼성병원 앞에 돈의문을 세웠더니 사람들은 이 문을 '새문(新門)'이라고 했다. 새문의 안쪽에 있다고 해 붙은 이름이 '새문안'이다.

새문안은 조선시대 한옥과 일제시대 가옥은 물론 19세기 골목길까지 옛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보기 드문 마을이다. 재개발 구역에 포함된 이곳은 전면 철거된 뒤 공원이 될 뻔했으나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부활'했다.

경희궁 자이 아파트를 짓는 조건으로 새문안 마을 땅과 건물을 기부채납 받은 서울시가 마을 전체를 보존하기로 한 것. 마을 이름은 '돈의문 박물관 마을'이라고 새로 붙였다.

이 마을이 보수·보전 작업을 거쳐 다음 달 2일 공개된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주요 전시장이 돼 시민들을 맞는다.

서울비엔날레는 '도시'와 '건축'을 주제로 한 국내 첫 학술·전시 축제다.

도시 구성원들이 한정된 자원을 나눠쓰고 절약하면서 공존을 모색해보자는 뜻에서 주제를 '공유 도시'로 잡았다.

새 단장을 마친 돈의문 박물관 마을 내 건물마다 1∼2개씩 전시가 열린다. 관객들은 30여 개 건물 곳곳을 돌아보면서 도시 문제와 해법을 고민해볼 수 있다.


포켓몬고 게임처럼 증강현실을 활용해 내가 걷는 거리의 미세먼지 현황을 스마트폰 화면으로 확인하는 '서울 온 에어', 태양광을 이용해 지하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침략적 재생' 프로젝트 등이 전시된다.

마을의 중심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건물을 리모델링한 '도시건축센터'다. 유한양행, 현대제철 사옥으로도 쓰인 적이 있다.

비엔날레 식당과 카페도 문을 연다. 인도 첸나이에서 초청한 쉐프가 직접 요리하는 탈리, 태양광으로 구운 빵, 도시양봉 꿀로 만든 차를 맛볼 수 있다.

비엔날레 공식 메뉴인 탈리는 큰 쟁반에 밥과 반찬이 1인분씩 담겨 나오는 인도 남부 타밀나두 지방 채식요리다.

비엔날레가 끝난 이후 돈의문 박물관 마을에는 역사전시관, 유스호스텔, 서점, 건축설계사무소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비엔날레의 두 번째 무대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선 세계 50개 도시의 공공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도시전'이 열린다.

하이라이트는 평양 아파트를 그대로 재현한 '평양살림'이다. 북한에서 입수한 가구와 가전용품, 집기를 채워 평양 주민의 삶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일본 도쿄 '야네센 거리'를 소개하는 전시도 눈길을 끈다. 80년 된 커피숍, 120년 된 과자가게, 200년 된 목욕탕을 개조해 만든 갤러리 등이 있는 이 거리는 일본 고유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훌륭하게 보전과 공생을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야네센은 서울 도시재생 사업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는 게 비엔날레 주최 측 설명이다.

서울비엔날레는 11월 5일까지 두 달간 돈의문 박물관 마을과 DDP 일대에서 이어진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