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김무성 책임론' vs 비박계 "물귀신 작전"
친박계 인적청산 범위에는 '최소화' 공감대 형성
(서울=연합뉴스) 이한승 이슬기 기자 =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가 다음 달 1일 끝장토론을 통해 박근혜 전 대통령 출당 등 인적혁신에 대한 결론을 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당내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의원은 거의 없지만, 의원들은 혁신위에서 어떤 결론을 내릴지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당내 논의의 흐름을 주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혁신위가 구체적인 밑그림을 내놓는 순간 친박근혜(친박)계와 비박근혜(비박)계 사이에 '일전'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31/AKR20170831070200001_01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8/31/AKR20170831070200001_02_i.jpg)
주요 갈등 포인트는 보수진영 붕괴에 대한 책임론의 범위다.
특히 친박계는 박 전 대통령과 친박계 의원들이 보수진영 붕괴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에 맞서 '김무성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총선 패배와 박 전 대통령 탄핵을 초래한 가장 큰 책임은 새누리당 대표를 지낸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에게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30일 열린 혁신위 회의에서 혁신위원들은 김무성 책임론을 놓고 격론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친박계 의원은 3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의원을 겨냥해 "친박계에 책임이 있다고 하는데 가장 결정적 책임이 있는 사람에게 책임을 묻지 않아서는 안 된다"며 "복당을 하려면 반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만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바른정당 일부 의원들이 통합을 거론하는데 후안무치다. 동지들을 내팽개치고 앞다퉈 도망친 배신자들은 통합 대상이 아니다"며 "가출한 탕아가 배고프고 추우니 돌아온다고 기웃거리는데 치졸함과 비굴함에 분노할 가치도 없다"며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또 다른 친박계 의원은 "혁신위가 현실을 모르고 권한 밖의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혁신위가 어떻게 옥석을 가리겠다는 것이냐"며 "홍준표가 '차도살인'(借刀殺人·남의 칼을 빌려서 사람을 죽인다는 뜻)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비박계 의원들은 본말이 전도됐다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현재의 위기 상황을 초래한 데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는 것이다.
한 비박계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을 출당시킨다는 것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잘못을 인정하는 것 아닌가"라며 "김무성 의원 등 분당파에 대한 책임을 운운하는 것은 자기모순이고 자가당착"이라고 말했다.
다른 비박계 의원 역시 "친박계 의원들은 자신들이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 오니까 같이 물에 빠지겠다고 나오는 것이다. 물귀신 작전에 불과하다"며 "책임의 근본은 생각하지 않고 공동책임으로 만들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비박계 의원 역시 "보수를 붕괴시킨 원천적인 책임이 누구에게 있나. 박 전 대통령과 박 전 대통령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있는 게 아닌가"라며 "자기들이 문제를 일으켜 놓고 누구를 문제 삼으려고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가세했다.
인적청산의 시기도 충돌 포인트가 될 수 있다.
구(舊) 친박계로 통하는 김태흠 최고위원은 앞서 지난 22일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박 전 대통령 출당 시기에 대해 "당규에 최종심이 확정될 때 출당 등의 징계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만큼 형 확정 이후에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비박계 의원들은 "추석 연휴 전에 박 전 대통령 출당 등 인적청산 작업을 마무리해야 민심을 돌아오고 지방선거를 치를 수 있다"며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박 전 대통령 출당 작업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다만 인적청산 대상과 관련해서는 양측 모두 범위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에 대해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혁신안이 나온 뒤에 의견 수렴 과정 등을 거친 뒤 당의 입장을 정리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jesus786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