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더리 보이콧 시행 촉구, 한미FTA 폐기 논의 비판
(워싱턴=연합뉴스) 강영두 특파원 = 북한의 6차 핵실험 감행에 대해 미국 정부뿐 아니라 의회도 대북 압박 강화에 한목소리를 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 핵실험 직후 대응 방안으로 시사한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 카드를 포함한 더욱 강력한 제재와 압박을 주문했다.
그러나 북핵 위기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준비를 지시해 파문을 일으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 목소리가 나왔다.
공화당 소속인 밥 코커(테네시) 상원 외교위원장은 3일(현지시간) 오전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과 전화 통화를 하고 북한 핵실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코커 위원장은 성명을 내 "북한을 강력히 억지하고 역내 동맹이 북핵 위협에 더 힘껏 대처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을 지원하는 데 있어 행정부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중진으로 하원 정보위 간사인 애덤 쉬프(캘리포니아) 의원은 CNN방송에 출연해 "북한과 거래하는 다른 나라들에 대한 세컨더리 제재를 부과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쉬프 의원은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인해 "중국 역할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점을 세컨더리 보이콧 도입 요구의 배경으로 설명했다.
북한 무역의 90%를 차지하는 중국이 대북 교역을 중단케 해야만 제재와 압박이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아울러 북핵 대응책과 관련해서도 "우선은 북핵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하며, 그 후에 핵 폐기를 향한 협상으로 나아가길 바란다"며 '선(先) 중단, 후(後) 폐기' 주장을 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7/08/14/02/C0A8CA3D0000015DDE1771800017F3E6_P2.jpeg)
지난해 공화당 대선후보였던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 의원은 ABC방송에 나와 6차 핵실험에 대해 "현재 지구 상에서 가장 위험한 나라인 북한이 대량 살상 능력을 심각하게 끌어올렸다"며 "과격하고 예측불가능하며 극단적인 김정은이 점점 더 위험한 무기를 갖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정은은 오직 힘을 존중하기 때문에 유화책은 도발을 부추길 뿐이라는 대통령의 발언은 옳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초강경 대응방침에 힘을 실어줬다.
민주당의 호아킨 카스트로(텍사스) 의원은 ABC방송 인터뷰에서 "북한 경제를 질식시키기 위해 지난달 통과한 유엔 결의안에 담긴 제재를 이행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그는 그러나 "이 시점에서 북한에 대한 군사 행동을 옹호하는 사람은 미국을 위협하는 핵전력에 대한 군사 행동을 옹호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대북 군사옵션에 대해서는 반대했다.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하기 불과 몇 시간 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검토한 것으로 알려진 한미FTA 폐기에 대해서는 현명한 판단이 아니라는 비판도 나왔다.
공화당 중진 제프 플레이크(애리조나) 상원 의원은 CNN방송에서 한미FTA 폐기에 대해 "나는 그게 어떤 상황에서도 좋을 거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플레이크 의원은 "현재 한국이 직면한 상황을 생각하면 특히나 골치 아픈 일"이라며 "우리는 더 많은 무역을 해야 하는데, 무역협정을 폐기한다는 것은 매우 골치 아픈 일"이라고 강조했다.
k0279@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7/27/PYH20170727472700340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