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軍, 동해안서 '北 응징' 무력시위…현무·슬램-ER 미사일 발사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04/AKR20170904024300011_01_i.jpg)
군 당국은 4일 북한의 제6차 핵실험 도발에 대응해 미사일 발사훈련으로 대북 무력 응징시위에 나섰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 군은 오늘 새벽 일출과 더불어 공군 및 육군 미사일 합동 실사격훈련을 실시했다"며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강력한 경고 차원"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격에는 육군의 지대지 탄도미사일인 현무와 공군의 장거리 공대지미사일을 동해상 목표 지점에 사격을 실시해 명중시켰다"고 설명했다.
전문보기: http://yna.kr/90Ru6KRDAsr
■ 美, 北핵실험 도발에 세컨더리 보이콧 유력…군사대응 경고까지
미국 정부는 3일(현지시간) 북한의 제6차 핵실험 도발에 맞서 전방위 압박을 예고하며 긴박하게 움직였다. 백악관을 비롯한 미 정부의 공식 분석과 평가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이번 핵실험을 '레드 라인'을 넘어선 역대 최대의 도발로 보고 이에 상응하는 고강도 제재와 압박 조치를 마련하기 위한 대응을 본격화했다.
전문보기: http://yna.kr/S0R26KLDAsH
■ 유엔 안보리, 4일 오전 긴급회의…北핵실험 대응 논의
유엔 안보리는 4일(현지시간) 오전 10시 뉴욕 유엔본부에서 긴급회의를 열어 북한의 제6차 핵실험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회의는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등 5개국의 소집 요구에 따른 것으로, 북한의 6차 핵실험 도발에 대한 강력한 규탄과 함께 추가 대북제재 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언론성명이나 이보다 격이 높은 의장성명 채택 가능성도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동맹국들은 최고 수준의 대북제재를 위한 안보리 차원의 추가제재 결의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나 북한 제재에 미온적이었던 중국과 러시아의 동의 여부가 관건이다. 추가제재는 대북 원유 수출금지나 북한의 석유제품 및 해외 노동자 송출 전면금지 등이 주요 내용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전문보기: http://yna.kr/S0R.6K4DAsp
■ 靑, 트럼프 트윗에…"평화 통한 한반도 비핵화 포기 않을 것"
청와대는 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한 6차 핵실험 관련 트위터 글에 대해 "우리는 동맹국들과 함께 평화를 통한 한반도의 비핵화를 포기하지 않고 추구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는 이날 공식 입장을 내고 "한국은 동족상잔의 전쟁을 직접 체험한 국가"라며 "또다시 이 땅에서 전쟁의 참화를 되풀이할 수는 없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전문보기: http://yna.kr/BeRc6KYDArp
■ 국회 국방위, 오늘 '북한 6차 핵실험' 긴급 현안보고
국회 국방위원회는 4일 오후 3시 전체 회의를 열어 국방부로부터 북한의 6차 핵실험 관련 긴급 현안보고를 받는다. 회의에는 송영무 국방부 장관 등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들이 출석해 전날 북한이 강행한 6차 핵실험과 관련한 상황을 보고하고 정부의 대응방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외교통일위원회와 정보위원회도 이날 중 북한 6차 핵실험과 관련한 전체회의와 간담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각각 추진하고 있다.
전문보기: http://yna.kr/WdRm6K1DArl
■ 北 "ICBM장착용 수소탄시험 완전 성공"…레드라인 밟았다
북한이 3일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탑재할 수소폭탄 실험을 목적으로 한 제6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북한의 잇단 미사일 도발로 긴장이 높아진 상태에서 한반도 정세가 시계 제로의 상태에 돌입하게 됐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처음인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한미가 사실상 '레드라인(금지선)'으로 간주하는 핵탄두 탑재 ICBM의 실전배치에 코앞까지 다가온 것으로, 사실상 레드라인을 밟은 것과 다름없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한반도 정세에 또 한번의 격랑이 예상된다.
전문보기: http://yna.kr/DdR56KCDAr2
■ [북 6차핵실험] 원자탄이냐 그 이상이냐…기상청은 규모 5.7, 美中日 6.3∼6.1
3일 북한 6차 핵실험에 따른 인공지진의 규모를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이 모두 다르게 분석함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인공지진의 규모는 핵실험의 폭발위력을 추정할 유일한 근거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발생한 인공지진의 규모를 5.7이라고 밝혔다.
전문보기: http://yna.kr/RdRu6K-DArU
■ '비정규직 제로' 역주행?…2분기 공공기관 51% 비정규직 늘어
올해 2분기(4∼6월) 전체 공공기관에서 늘어난 비정규직이 1천7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비정규직 제로화'를 천명한 가운데, 한 명이라도 비정규직이 늘어난 공공기관의 수는 전체의 절반 이상이었다. 4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공공기관 355곳(부설기관 23곳 포함)에 소속된I 비정규직은 3만9천681명으로 1분기(1∼3월)보다 1천765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보기: http://yna.kr/azRC6K6DAp_
■ 22일부터 조기노령연금 안 받고 국민연금 재가입 가능
이른바 '손해연금'으로 불리는 조기노령연금을 받는 사람은 이달 말부터 자진해서 수령을 중단하고 국민연금에 다시 가입할 수 있다. 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조기노령연금 수급자는 월평균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22일부터 스스로 신청해서 연금을 끊고 보험료를 다시 납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기노령연금은 노령연금 수급권을 확보한 사람이 애초 받을 시기보다 1∼5년 먼저 앞당겨서 받는 연금을 말한다.
전문보기: http://yna.kr/wyRW6KyDApE
■ KBS·MBC 노조, 파업 돌입…5년만에 동시 총파업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이하 KBS본부노조)와 MBC본부(이하 MBC노조)가 4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전국언론노조와 두 회사 노조 등에 따르면 KBS본부노조와 MBC노조는 경영진 퇴진과 공영 방송 개혁을 요구하며 이날 0시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양 방송사 노조가 함께 일손을 놓은 것은 2012년 이후 5년만이다.
전문보기: http://yna.kr/HdRX6KEDArq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