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정부는 대북제재 강화 '총력전'…언론선 대화론 '솔솔'

입력 2017-09-04 10:45   수정 2017-09-04 10:58

日 정부는 대북제재 강화 '총력전'…언론선 대화론 '솔솔'

日정부, 한미 협력해 중러 설득 '석유 수출 금지' 유엔 제재 추진

군사충돌 가능성에 언론 "이란 핵합의 참고해 대화틀 마련해야"

(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북한의 제6차 핵실험 감행 이후 해외 정상들과 잇따라 통화하며 대북 제재와 압박 강화에 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일본 언론에서는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최악의 상황은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아베 총리는 3일 늦은 밤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해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서는 국제사회가 북한에 전례 없이 강력한 압력을 가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함께 했으며 푸틴 대통령에게는 "국제사회 전체가 최대한의 압력을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력한 안보리 결의를 새로 내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 각료들도 3일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하자마자 곧바로 유엔에서 추가 제재를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각국과 새로운 안보리 결의안 채택을 위해 조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고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도 "유엔 추가 제재에 원유와 석유 제품에 관한 거래 규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오노데라 이쓰노리(小野寺五典) 방위상 역시 4일 기자들에게 "더한 압력이 필요하다는 것은 미국과 일본의 공통된 인식"이라며 "유엔 안보리 등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해 다양한 압력을 가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아베 총리가 미국, 러시아 정상과 통화한 것은 중요한 행위"라고 설명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당분간 국제포위망 구축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중국과 러시아에 협력을 구해 북한에 타격을 줄 강력한 제재를 결의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언론들은 공통적으로 북한의 핵무기 기술이 진전을 이룬 것이라는 평가를 내리면서도 향후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한 해법에 대해서는 엇갈린 시각을 내비치고 있다.

도쿄신문은 4일자 '북한의 핵, 제재와 교섭으로'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긴장에서 가장 걱정이 되는 것은 대화, 교섭이 실현되지 않는 것"이라며 "대화가 없으면 북한과 미국의 군사적 대립이 더 깊어져 우발적인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사라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어 "핵개발을 막고 국제사회의 경제 교류를 촉진시킨 이란 핵합의의 교훈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며 "북한에 대한 제재를 이행하면서도 외교에 의한 해결을 목표로 의견 교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같은 대화론이 고개를 드는 것은 북한이 핵실험으로 미국이 정한 '레드라인'을 넘어서며 군사 충돌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군사적 옵션 사용' 가능성이 현실과 가까워지면서 한반도의 군사 충돌이 일본에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는 것이다.




마이니치신문도 사설에서 "동북아시아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줄 군사충돌은 절대로 피해야 한다. 악몽을 막기 위해 각국이 온힘을 다해 위기를 봉쇄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아사히신문은 "중국이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최대한 행사한 뒤 기존의 6자협의를 활용해 다국간 대화의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경제 신문인 산케이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사설을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케이는 "석유 수출 금지는 물론 북한의 금융 거래를 멈출 제재를 하루라도 빨리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니혼게이자이는 "북한의 핵개발 야망을 단념시키기 위해 유엔 안보리는 이번에야 말로 강력한 제재결의를 채택해야 한다. 김정은 체재에 심각한 타격을 줄 석유금수를 새로 제재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b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