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차량 정체를 줄이기 위해 관광지 주변에 들어가는 차량에 입장료를 받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8일 보도했다.
국토교통성은 이를 위해 가나가와(神奈川)현 가마쿠라(鎌倉)시와 교토(京都)시에서 인공지능(AI)으로 카메라 영상과 톨게이트 정보 등을 분석해 주행 속도 등 정체 상황을 분석할 계획이다.
어떤 계절, 어떤 시간대에 어디에서 정체가 발생하는지 파악한 뒤 특정 구역에 들어가는 차량에 요금을 부과하거나 차를 교외의 주차장에 세워놓고 철도와 버스 등으로 목적지로 향하는 '파크&라이드(Part&Ride)'를 돕는 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다.
도쿄에서 가까운 편인 가마쿠라의 경우 쓰루가오카하치만구(鶴岡八幡宮)신사 등이 있어 관광객들이 대거 몰리는 지역이다. 쿄토 역시 히가시야마(東山) 주변에 관광지가 모여 있어 차량 정체가 심하다.
국토교통성은 효고(兵庫)현 고베(神戶)시나 나가노(長野)현 가루이자와(輕井澤)에서도 비슷한 분석을 진행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다만 관광지의 자가용 차량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는 제도에 대해서는 관광객들의 반발이 심할 것으로 예상돼 실제로 시행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국토교통성 관계자는 "혼잡이 개선되면 관광객들이 관광지에 오래 체류하게 되고 재방문으로도 이어지는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08/AKR20170908079100073_01_i.jpg)
b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