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충북대병원·국립암센터 공동 연구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암 환자 10명 중 4명은 자신의 암 진행상태를 의미하는 병기(病期)를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치 가능성에 대해서도 60% 가까이가 담당 의사의 기대와 달라 암 환자와 의료진 사이 소통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서울병원 암치유센터 신동욱 교수와 충북대병원 충북지역암센터 박종혁 교수는 국립암센터 연구팀과 함께 전국 13개 암센터에서 환자와 보호자 750쌍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정신종양학지'(Psycho-oncology)에 발표됐다.
연구진은 담당의사, 환자, 보호자 1명씩에 병기, 치료 목표, 완치 가능성을 질문한 뒤 의사의 대답을 기준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병기에 대해서는 환자 63.0%, 보호자 65.9%가 의사의 답변과 일치했다. 환자와 보호자 모두 10명 중 6명만이 병의 진행상태를 제대로 알고 있다는 의미다.
치료 목표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보였다.
현재 환자가 받는 치료가 완치를 위해서인지, 증상을 완화하거나 남은 수명을 늘리기 위한 치료인지 정확히 아는 경우는 환자가 69%, 보호자가 70%였다.
특히 완치 가능성을 두고선 환자 및 보호자와 의료진의 답변이 크게 엇갈렸다. 환자와 보호자 각각 41.4%와 45.1%만이 의료진과 같은 기대 수준을 보였다.
이 경우 환자와 보호자들은 의사보다 상황을 낙관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의사와 답이 엇갈렸던 환자와 보호자 대다수가 실제 진단보다 병기를 낮춰 말했고, 완치 가능성도 더 크게 봤다.
연구팀은 같은 환자를 두고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 사이에 인식 차이가 나타나는 데 대해 서로 소통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의사가 진료 당시 환자의 기분을 고려해 완곡하게 표현하거나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현상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반대로 의사가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환자나 보호자가 이를 못 받아들이거나 의학적 지식 부족으로 이해하지 못해 이러한 격차가 나타날 수 있다고 봤다.
신 교수는 "암 치료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들은 본인의 기대와 희망을 투영해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많다"며 "이런 태도는 투병 과정에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정확한 상태를 모르면 환자가 위험한 치료를 선택하는 등 결국 더 큰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