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훈 원내부대표는 14일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가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인 서청원, 최경환 의원의 자진 탈당을 권고한 데 대해 "화장발에 속을 국민은 없는데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바른정당 하태경 최고위원은 "한국당 혁신위가 박 전 대통령의 출당을 얘기하는 것은 양두구육(羊頭狗肉)"이라면서 "출당을 권유하려면 혁신위 안에 있는 태극기 부대들이 국민 앞에 사과부터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비슷한 시각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특강을 하다가 한 학생으로부터 '한국당 혁신위의 자진 탈당 권유는 보여주기식 꼼수가 아니냐'는 질문을 받기도 했다. 박근혜 정권의 권력 농단과 권력 사유화에 책임이 있는 한국당이 진정으로 반성하거나 보수의 재건을 위한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지 않은 채 박 전 대통령과 친박 탈당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한국당 혁신위가 전날 박 전 대통령 등 세 사람의 자진 탈당을 권고하는 내용의 혁신안을 발표했지만 이를 '정치적 쇼'나 '꼼수'로 여기는 국민이 적지 않다.
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친박계 좌장격인 서 의원과 최 의원을 겨냥해 "계파 전횡으로부터 비롯된 국정 실패에 책임이 가장 무겁다"면서 자진 탈당하지 않을 경우 출당 조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로써는 박 대통령이나 서·최 두 의원이 자진 탈당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친박계는 "집단탈당도 불사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국당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1심 판결이 예상되는 10월 17일을 전후해 징계 집행 여부를 논의하기로 했지만, 이 문제로 한동안 당이 시끄러울 것 같다.
박 전 대통령은 당이 제명 카드를 꺼내기 전에 스스로 당적을 정리하는 게 마땅하다. 탄핵사태로 국정을 혼란에 빠뜨리고 보수세력을 위기에 몰아넣은 데 대한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 그것이 '1호 당원'으로서 마지막 책무라고 본다. 박 전 대통령을 제대로 보좌하지 못해 결과적으로 국정농단을 방조한 친박 핵심도 정치적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런 면에서 한국당의 친박 핵심에 대한 자진사퇴 요구는 당연하다. 하지만 '당원권 3년 정지' 징계를 받은 두 의원을 대선 승리를 명분으로 복권한 당사자가 바로 한국당 대선후보였던 홍준표 대표다. 친박 핵심인사에 대한 이번 자진 탈당 권유도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염두에 둔 정략적인 발상 내지는 '보여주기식 쇼'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혁신위 이옥남 대변인도 라디오 방송에서 "통합을 염두에 두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통령과 친박 핵심의 청산은 위기에 처한 한국당의 회생과 보수의 재건을 위한 출발점에 불과하다. 더 중요한 것은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진정한 반성을 하고 활골탈태하겠다는 의지를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우선 친박계 인사들을 당직에서 배제하고 그 자리에 계파정치에 물들지 않은 인물들을 전면 배치해야 한다. 그래야만 새로운 인물들이 한국당의 문을 두드릴 여지가 생긴다. 또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안보가 불안하고 경제여건도 좋지 상황에서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홍준표 대표와 소속 의원들도 말을 앞세우기보다는 신중한 언행으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바른정당을 흡수통합하기 위해 압박하는 대신 바른정당과의 보수경쟁에서 자연스럽게 승리하는 방안을 찾기 바란다. 그렇지 않으면 친박 핵심에 대한 탈당 권유는 진짜 '쇼'가 될 수도 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