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통화정책 정상화시 韓시장금리↑ 원화가치↓"
(서울=연합뉴스) 박의래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안에 금리를 추가로 올리고 조만간 보유자산 축소를 시작할 것이기 때문에 한국도 기준금리 인상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세가 이어지면, 국내 시장금리와 외화표시채권 조달 금리가 오르고 원/달러 환율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7일 발표한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파급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원이 테일러 준칙에 의해 추정한 미국의 적정금리는 지난 7월 기준으로 3.5%다.
실제 연방금리(1.25%)보다 2.25%포인트 높은 것이다.
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이나 투자은행(IB)의 애널리스트의 금리 전망치의 중간값을 보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말에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크다.
올해 안에 연준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양적 완화로 폭증한 보유 자산을 축소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연준의 보유 자산규모는 2008년 1월 말 9천3억 달러에서 2017년 9월 현재 4조4천535억 달러로 약 5배 늘었다.
연준은 점진적으로 만기도래하는 자산의 재투자를 줄이는 방식으로 자산을 축소할 예정이다.
연준의 적정 자산규모는 2조9천억 달러 수준이며 오는 10월이나 내년 1월에 시작할 경우 2021년 3분기 전후로 종료될 전망이다.
이처럼 올해 안에 추가 금리 인상과 자산 축소가 진행될 경우 금융시장에서는 미국의 장·단기 금리가 모두 상승하고 달러 가치도 오를 전망이다.
또 한국에서는 시장이자율이 소폭 상승하고 원/달러 환율도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의 양적 완화와 한국은행의 정책금리 인하가 동시에 이루어진 시기에는 국내 시장이자율이 급락하고 원화 가치도 상승한 만큼, 되돌림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다만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자산 축소보다는 금리 인상, 지정학적 리스크에 더 크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또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외국인투자자금이 빠져나가고, 외화표시채권 조달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도 크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이미 예견된 상황에서 점진적으로 시행된다면 파급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시기와 속도에 따라 불확실성이 크다"며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 추세에 맞춰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간 금리역전이 발생할 경우 국내 외국인 투자자본의 유출이 예상되는 만큼 충분한 외환보유액을 유지하고 통화스와프도 확충하는 등 대비가 필요하다"면서 "가계부채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도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laecor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