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군산시 장애인 콜택시를 위탁 운영한 단체의 비리 수사와 지자체의 직영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장애인 인권연대와 군산시 장애인 콜택시 비상대책협의회 등은 19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비리투성이인 장애인 콜택시 위탁 운영 단체를 철저히 수사하고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공공성 강화를 위해 콜택시를 시가 직접 운영하라"고 주장했다.
군산시는 그동안 장애인 콜택시를 위탁 운영해온 한 지역장애인센터가 물의를 빚자 최근 계약을 해지했다.
콜택시 비상대책협의회도 이 단체를 보조금 유용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이 단체 관계자와 군산시 공무원이 직원들에게 막말과 욕설을 퍼붓고 사적인 일에 동원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와 전북도 인권센터에 진상조사를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장애인 콜택시가 없으면 외출조차 할 수 없는데 운영업체들이 갑질은 물론 불친절, 위법행위 등을 지속해 큰 불편을 겪었다"면서 군산시에 민간위탁 철회와 직영을 요청했다.
이어 24시간 연중무휴 운행, 야간 운행시간 연장, 이용요금 인하 등도 요구했다.
군산시는 2007년부터 연간 4억7천만원가량을 들여 17대의 장애인 콜택시를 위탁 운영했었다.
장애인 콜택시는 매월 1천명의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고 있다.
정의당 전북도당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직영 전환을 위한) 군산시와 군산시의회의 전향적 자세를 촉구하고 전북도에 책임과 역할을 당부했다.
ichong@yna.co.kr
(끝)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19/AKR20170919129100055_01_i.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