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박인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9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에 대한 '완전 파괴' 가능성을 언급하며 초강경 대북 기조를 이어가는 가운데 유럽 주요국 정상들은 이와는 거리를 두면서 저마다 다른 해법을 제시하고 나섰다.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나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영국의 테리사 메이 총리 등은 대체로 트럼프가 언급한 군사옵션에 반대하면서도 북핵 문제 해결에 적극성을 보였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과 주요 이슈에서 대척점에 서 있던 메르켈 총리는 이번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초강경 발언에 거부감을 표시하고 평화적 해법 모색을 강조하면서 중재자를 자처했다.
메르켈 총리는 지난 20일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이 같은 위협에 반대한다"며 "북한 문제는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군사적 해결은 절대적으로 부적절하므로 외교적인 노력에 집중해야 한다"며 "대북 제재를 강화하는 것은 올바른 해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독일은 중재역할을 할 수 있다"며 당사국들의 동의가 있을 경우 중재자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독일이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고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등 이해 당사국들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중재 책임을 기꺼이 떠안겠다는 입장이다.
독일은 앞서 지난 2015년 7월 타결된 이란 핵협상에서도 중재자로 참여한 경험이 있고 북핵 문제도 이란과 같거나 비슷한 길을 걸어야 한다는 논리여서 독일이 중재자로 적합하다는 취지다.
취임 후 첫 유엔 총회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는 마크롱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한 대북 군사옵션에 부정적 반응을 보이며 중국과 러시아를 통한 대북 압박 강화를 제안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19일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군사옵션에 대한 견해를 묻자 "지도를 보라"며 "군사옵션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수많은 희생자에 관해 얘기하는 것"이라고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그는 "나는 위기를 관리하는 기술과 평화건설의 가치를 믿는다"며 "우리가 이 지역(한반도)에서 해야 하는 일은 정확히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리는 군사적 해법을 회피해야 한다"며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북한의 의존도가 높은 만큼 이들을 통해 우회적으로 북한을 압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북한의 핵무기 보유가 임박했음을 지적하면서 "우리는 북한에 대한 감시도, 협의도 그만뒀다. 이제 그 결과가 어떠한가"라고 되물으며 감시나 대화 없이 방치된 북한의 전례가 이란과의 관계에서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영국의 테리사 메이 총리는 다른 유럽 정상들보다는 다소 강경한 입장이다.
메이 총리는 군사옵션에 대한 언급은 피하면서도 북한에 대한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압박 강도를 높일 것을 주문하고 나섰다.
그는 지난 20일 유엔총회 연설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국제사회에 저항하고 도발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웃 국가들을 위협하고 있다"며 "김정은이 태도를 바꾸도록 강제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mong0716@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