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반발·내년 지방선거 눈치 보기 등 난관 수두룩
(광주=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광주시의 최대 현안 중 하나인 무등산 정상 방공포대 이전사업이 제자리걸음이다.
국방부와 협의해 상반기 중 이전 후보지를 확정한다는 계획은 이미 물 건너갔고 연내 마무리도 사실상 어렵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22/AKR20170922154000054_01_i.jpg)
내년 지방선거 뒤에나 다시 추진 논의에 불이 붙을 것으로 보는 전망이 우세하다.
24일 광주시에 따르면 방공포대 이전 후보지로 광주 군 공항 영내, 서창 들녘, 동곡예비군훈련장 등 3곳으로 압축했으나 주민반발에 부딪혀 단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국방부와 광주시는 무등산 정상 방공포대를 광주 군 공항 영내에 옮긴 뒤 군 공항 이전 때 함께 옮겨가는 안을 유력하게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광산지역 시민단체와 지방의회 등의 거센 반발로 사실상 사업추진이 멈춘 상태다.
이들은 광산구 주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은 전투비행장 이전 지역을 먼저 확정한 뒤 시행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광주시는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신청 등 훈풍을 타고 방공포대 이전에 속도를 냈으나 제동이 걸린 셈이다.
주민반발을 의식한 지역정치권의 눈치 보기도 방공포대 이전의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당장 내년 지방선거에서 표를 의식한 지역정치권이 포대 이전 추진에 소극적으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애초 후보지 3곳을 접고 광주 인근 지자체나 시 외곽 지역을 검토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밀어붙일지를 놓고 '눈치보기'는 여전하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22/AKR20170922154000054_02_i.jpg)
국방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전 후보지에 대한 실시설계비(15억 원)를 편성했으나 불용처리될 가능성이 크다.
이전비용은 400억원, 이전 뒤 정상복구비는 80억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국방부에 이전 후보지를 결정해 제시해야 하지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며 "사실상 지방선거 이후에나 본격적인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광주환경단체 한 관계자는 "이전의 당위성이 확보된 만큼 단체장과 지역정치권은 시민의 폭넓은 의견 수렴과 투명한 절차를 밟아 강단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등산 정상 천왕봉(해발 1천187m)에는 공군 제8989부대 예하 3포대가 1966년부터 반세기 넘는 기간 주둔하고 있다.
nicep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