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김정선 특파원 = 북한이 4차 핵실험 강행 직후였던 지난해 1월 중순 미국과 비공식 논의를 하고 상호 궤멸적 피해를 주는 핵무기 보유로 억지력을 작용시키는 '상호 확증 파괴'(MAD) 관계를 북·미 간에 확립, 대등한 관계를 요구했다고 교도통신이 24일 보도했다.
통신은 당시 논의 내용을 파악하고 있는 전 미국 정부 고위 관리를 인용해 이같이 전한 뒤 협의에는 자성남 유엔주재 북한 대사도 참석했다고 소개했다.
이는 국제사회에 핵보유국으로서 정식으로 인정받기 위해 미국 측 반응을 탐색하려 했던 것으로 통신은 분석했다.
북한은 지난 3일 6차 핵실험을 실시한 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탑재 수소탄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등 핵 개발을 가속하고 있다.
지난해 1월 논의에서 미국 측은 MAD 전략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답했으며 통신은 논의 이후 "미국 측 참석자 1명이 한일 양국 정부에도 이를 설명했다"고 전했다.
논의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만찬 자리에서 이뤄졌으며 북한 측은 향후에도 핵 개발을 계속한다는 방침을 표명한 뒤 북한이 핵 선제공격을 받아도 보복할 수 있는 억지력을 갖는 것으로 북미 간의 핵전쟁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고 통신은 보도했다.
미국 측은 아시아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는 한반도 비핵화가 불가결하다고 강조했으며 북·미 간에는 핵전력에 차가 너무 커 냉전 시대 미국과 옛 소련 사이에서와 같은 MAD 전략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통신은 "당시 논의에는 미국 측에선 대사 경험자와 싱크탱크 수장이, 북한 측에선 자성남 대사 외에 북·미 관계 연구자 등이 참가하는 등 양측에서 5명씩 자리를 함께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10월에는 쿠알라룸푸르에서 로버트 갈루치 전 미국 국무부 북핵 특사, 한성렬 북한 외무성 부상 등이 비공식접촉을 한 바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6/10/26/01/C0A8CA3D00000157FE5905790003119D_P2.jpeg)
js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