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콘트롤 타워' 유지할지, 정무기능 강화할지가 관건
후임자 못 정한 듯…경제 전문가, 고위관료, 지역인사 거론
(청주=연합뉴스) 변우열 기자 = 4년 10개월간 재임해 '충북 최장수 정무부지사' 기록을 세운 설문식 부지사가 사임 의사를 밝힘에 따라 후임 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설 부지사는 지난주 이시종 지사에게 사의를 밝혀 재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설 부지사는 지난 8월에도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후임이 마땅치 않은 데다 내년 정부 예산 확보 등 현안이 많다는 점을 들어 이 지사가 만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설 부지사는 정부예산 확보, 기업 유치 등 충북도의 경제분야 콘트롤 타워 역할을 담당했다.
이 때문에 후임 정무부지사 역할을 설 부지사처럼 '경제 부지사'로 활용할지, 지역 현안 등을 챙기는 정무 기능에 무게를 둘지가 후임자 발탁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설부지처럼 경제 분야를 총괄토록 한다면 충북 출신으로 경제 부처에서 고위 공직을 지낸 인물들이 우선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인재 풀'이 거의 없다는 점이 고민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출신인 김학도 전 에너지관리실장, 최태현 전 대통령비서실 민원비서관 등이 거론되는 정도다.
충북 출신 중에서 마땅한 인물이 없으면 설 부지사처럼 지역과 연고가 없는 의외의 인사를 과감하게 발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내년 지방선거까지 불과 8개월여 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 중앙 인사들이 정무부지사직을 선뜻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정무부지사의 역할을 사회단체나 도의회 등 지역사회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지역 현안을 풀어내는 정무 기능 강화에 둔다면 지역인사들이 유력하다. 지역의 인물을 키우는 차원에서 '재야' 인사를 발탁할 가능성도 있다.
학계에서는 이 지사의 공약자문위원장인 주종혁 청주대 교수, 지역 현안 해결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는 남기현 충청대 교수, 예총 회장인 임승빈 청주대 교수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시민단체에서는 송재봉 NGO 센터장, 이두영 국토균형발전 및 지방분권촉진 센터장 등의 이름이 거론된다.
조직의 안정을 위해 충북도 고위 관료 출신을 정무부지사로 발탁할 가능성도 있다.
도의 국장 등을 거친 강호동·신찬인·김용국씨와 이 지사의 신임이 두터운 조운희 충북도 재난안전실장, 남창현 정무특보 등이 꼽힌다.
거론되는 인물과 관계 없이 후임 정무부지사는 공모 절차를 밟게 된다. 정무부지사는 별정직이어서 공개 경쟁을 거쳐야 해서다.
도의 한 관계자는 "이 지사가 설 부지사의 사의를 받아들이기는 했지만, 후임자는 물론이고 정무부지사의 역할을 어디에 중점을 둘지도 정하지 못한 상태"라며 "지방선거가 8개월여 밖에 남지 않아 후임을 물색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 지사의 업무 스타일로 볼 때 경제 분야 전문가 영입을 추진하고, 여의치 않으면 지역 인물을 키우는 차원에서 후임을 발탁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bw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