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삼성전자는 '미래기술육성사업'의 2017년 하반기 지원과제로 머신 러닝을 이용한 음악 연주 시스템 개발 등 37개를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미래기술육성사업은 삼성전자가 연구비를 출연해 지원하는 연구사업으로 ▲ 기초과학 ▲ 소재기술 ▲ ICT(정보통신기술) 등 3개 분야에서 매년 세 차례 지원과제를 선정한다.
이번에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비선형 쌍곡 방정식의 특이점 및 장기적 행태 연구'(오성진 고등과학원 교수) 등 14개 과제가 선정됐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28/AKR20170928050600003_01_i.jpg)
또 소재기술 분야에서는 '초저전력 자성체를 이용한 테라헤르츠 발진 및 검출 소자 관련 연구'(이경진 고려대 교수) 등 8개, ICT 분야에서는 '머신 러닝을 이용한 감성적 음악 연주 생성 시스템 개발'(남주한 KAIST 교수·박종화 서울대 음대 교수) 등 15개가 선정됐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28/AKR20170928050600003_02_i.jpg)
삼성전자는 37개 연구과제에 총 531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특히 ICT와 음악을 융합해 딥 러닝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전문가 수준의 음악 연주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제, ICT와 의학을 접목해 의료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슈퍼 박테리아의 발생 기전을 연구하는 과제(양은호 KAIST 교수·김광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교수) 등 기존의 틀을 깨는 새로운 융합 연구과제가 선정됐다고 삼성전자는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9/28/AKR20170928050600003_03_i.jpg)
삼성전자는 2013년 8월 이 프로그램을 시작하며 10년간 1조5천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367개 과제를 선정해 이 가운데 4천646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삼성전자는 수행 과제 중 해외 핵심특허를 확보하거나 세계 최고 수준의 논문이 될 만한 과제, 산업계의 큰 반향이 기대되는 과제는 별도로 심사해 후속지원도 하고 있다.
올해 3분기 후속지원 과제로는 2014년 지원 과제로 선정됐던 '마찰전기 활용 고출력 발전기 및 응용 재료 개발'(백정민 UNIST 교수) 등 4개가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연중 수시로 자유공모 과제를 접수한 뒤 석학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매년 상·하반기 '자유공모 지원 과제'를, 연 1회 '지정테마 지원 과제'를 선정한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