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1~9월 계열사 지분 변화 분석…영풍, 13건으로 최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 올해 들어 국내 주요 재벌그룹들이 총수 일가의 자녀 세대로 지분승계를 가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총수가 있는 국내 100대 그룹의 계열사 지분 변화를 조사한 결과, 24개 그룹에서 자녀 세대의 계열사 지분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개 그룹 가운데 1개 꼴인 셈으로, 특히 자녀세대의 지분이 증가한 그룹 계열사 숫자는 75개에 달했다.
이에 비해 부모 세대의 계열사 지분증가는 17개 그룹, 28건에 그쳐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룹별로는 영풍의 경우 13개 계열사에서 자녀 세대의 지분이 늘어나 가장 많았으며, 애경그룹이 9개로 그 뒤를 이었다.
영풍은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의 차남인 최윤범 부사장을 비롯해 자녀 세대 13명이 보유한 계열사 지분율이 높아졌다. 애경도 장영신 회장의 사위인 안용찬 부회장을 포함한 자녀 세대 9명의 지분율이 상승했다.
부모 세대의 계열사 지분율이 상승한 그룹은 17곳으로, 이 가운데 대성그룹이 5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 기간에 자녀 세대와 부모 세대의 계열사 지분율이 동시에 상승한 곳은 대성, 영풍, KCC, GS, 녹십자, 금호아시아나, 동서, 현대중공업, 효성, 삼표 등 10개로 조사됐다.
한편, 올해 들어 총수 일가의 계열사 지분율이 감소한 그룹은 SK, 롯데, 두산 등 35곳이었다. 이 가운데 부모세대의 지분율이 감소한 곳이 33개로, 자녀 세대(17개)의 2배 수준이었다.
CEO스코어는 "계열사 지분증가 건수에서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훨씬 많다는 것은 그만큼 빠르게 자녀세대로의 지분승계가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지분율 변동은 매수·매도, 상속·피상속, 증여·수증, 설립, 계열편입, 합병 등만 반영했으며, 증자와 액면 분할, 주식 배당 등 발행 주식 변화에 따른 변동은 반영되지 않았다.
[표]100대 그룹 중 오너일가 계열사 지분 증가 상위 10위(1~9월)
┌──────────┬─────┬────┬────┬────┐
│그룹│인원수│계열사수│자녀세대│부모세대│
├──────────┼─────┼────┼────┼────┤
│영풍│43│ 16│ 13│ 3│
├──────────┼─────┼────┼────┼────┤
│애경│14│ 11│ 9│ 0│
├──────────┼─────┼────┼────┼────┤
│농심│20│ 10│ 6│ 0│
├──────────┼─────┼────┼────┼────┤
│동서│13│ 2│ 6│ 1│
├──────────┼─────┼────┼────┼────┤
│KCC │13│ 5│ 5│ 2│
├──────────┼─────┼────┼────┼────┤
│GS │51│ 16│ 4│ 2│
├──────────┼─────┼────┼────┼────┤
│현대중공업 │ 2│ 4│ 3│ 1│
├──────────┼─────┼────┼────┼────┤
│효성│ 8│ 18│ 3│ 1│
├──────────┼─────┼────┼────┼────┤
│대성│13│ 22│ 3│ 5│
├──────────┼─────┼────┼────┼────┤
│한미약품│20│ 4│ 3│ 0│
├──────────┼─────┼────┼────┼────┤
│총 31개 그룹│ 408│ 266│ 75│ 28│
└──────────┴─────┴────┴────┴────┘
※ 기타 69개 그룹은 증가 없음
huma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