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정부가 기존의 댐이 아닌 해수 담수화를 통해 수자원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한 연구용역 보고서가 공개돼 관심을 끈다.
수자원 확보 수단으로 추진된 4대강 사업이 녹조 등 수질오염 문제가 제기돼 보 철거가 거론되는 가운데 전국 14곳의 해수 담수화 도입 후보지역이 선정됨에 따라 해수 담수화가 대안으로 본격 도입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토 물공급 안정화 사업 기존조사' 자료를 공개했다.
이는 국토부가 한국수자원공사에 의뢰해 외부 용역을 벌인 결과다.
용역 보고서는 가뭄 및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기존 댐과 지표수를 활용하는 용수 공급 방안으로는 한계가 있어 해수 담수화를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러면서 전국 446곳에 대한 검토를 벌여 생활용수 공급 가능구역으로 4곳, 공업용수 공급 지역으로 산업단지 10곳 등 총 14곳을 선정했다.
생활용수 공급지역은 금강북부권과 영산강권, 속초시, 태안군이며 공업용수 공급지역은 대산임해산업단지와 반월·군산·광양·대불·울산·온산·창원·여수·포항 등 9개 국가산업단지다.
14곳의 대상지는 단기·중기·장기 추진 지역으로 분류된다.
단기 추진 지역은 충남 아산 대산임해산단이다.
석유화학 시설이 밀집한 이곳은 당장 2019년부터 용수가 부족해질 수 있기에 단기 과제로 2020년까지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제시했다.
이 단지는 이미 해수 담수화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다른 공업용수 공급지 중 군산, 광양, 여수, 포항국가산단은 2030년 예상 가동률이 100%를 초과해 높고 2025년에도 용수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돼 2025년까지 추진되는 중기 사업에 포함됐다.
나머지 산단은 2030년 이후 장기 사업지로 분류됐다.
생활용수 공급 후보지 중 속초시는 중기로, 나머지 지역은 장기 사업지로 분류됐다.
속초시의 경우 가뭄 대응을 위해 시급한 사업 추진이 필요하지만 담수화 정수를 생활용수로 공급하는 대안에 대해 지역사회의 공론화 및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중기 사업지가 됐다.
보고서는 이들 지역의 해수 담수화 사업 규모와 예상 사업비도 추정했다.
단기 공업용수 공급 사업으로 분류된 대산임해산단은 하루 10만㎥의 담수를 생산하는 설비를 짓는 데 2천2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중기 사업인 속초시 생활용수 사업의 경우 1만4천㎥/일 규모의 설비를 짓는 데 사업비는 667억원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해수 담수화 사업이 그동안 고비용과 낮은 인지도 등의 문제로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지만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등으로 대체 수자원 확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비용이 많이 내려간 데다 기술 수출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도 이제는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수 담수화 기술은 계속 기술개발이 이뤄져 비용이 상당히 낮아지고 있어 해안지역에 있는 산단이나 강과 멀리 떨어진 강원도 등지에 수자원 공급 수단으로 검토되고 있다"며 "특히 산단의 경우 매우 깨끗한 물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해수 담수화를 통해 만든 물에 대한 기업체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14곳의 사업가능 지역은 공급자 입장에서 정한 장소일 뿐, 지역의 수요가 있어야 하고 예비타당성 조사도 통과해야 해 확정된 사업지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원욱 의원은 "해수 담수화 설비는 댐을 추가로 짓는 것보다 환경적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더 좋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수 담수화를 적극 추진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bana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