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용형 외골격 로봇…최근 2년간 연평균 40건 이상 출원
(대전=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초융합과 초연결을 표방하는 4차 산업혁명이 산업과 경제의 핵심 화두로 대두하는 가운데 관련 기술 중 하나인 로봇 분야도 특허출원이 활발하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23/AKR20171023050000063_01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23/AKR20171023050000063_02_i.jpg)
23일 특허청에 따르면 인간과 로봇이 하나로 융합되는 엑소 수트(Exo Suit, 착용형 외골격 로봇) 분야의 국내 특허출원은 2009년 3건에 불과했지만 2010년 이후로 급격히 늘어 최근 2년간 연평균 40건 이상에 달했다.
사용자의 몸 외부에 골격 형태로 착용해 작동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엑소'와 옷을 의미하는 '수트'의 합성어인 엑소 수트는 착용형 로봇, 외골격 로봇, 엑소 스켈레톤, 웨어러블 로봇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사용자의 몸에 착용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근력을 증강하거나 작업 동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산업현장, 구조작업, 군사기술, 재활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엑소 수트를 입고 무거운 수하물을 나르는 공항 직원들이나 완전군장을 하고도 시속 16㎞로 달리는 군인의 모습은 이제 영화 속에만 등장하는 가상의 장면이 아니다.
내국인이 전체 출원의 97%를 차지하며, 대기업 43%(100건), 대학 21%(48건), 연구기관 15%(35건), 중견·중소기업 15%(34건), 개인 4%(10건) 순이었다.
다 출원 기업(기관)은 현대자동차(41건), 대우조선해양(27건), 국방과학연구소(21건) 순이었다.
엑소 수트 관련 특허출원이 최근까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는 이유는 일본 사이버다인사의 'HAL', 미국 록히드 마틴사의 'HULC' 등 해외기업의 가시적인 성공이 국내 기업과 연구기관의 연구개발(R&D)과 기술개발을 자극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나광표 특허청 로봇자동화심사과장은 "엑소 수트는 로봇의 동작 제어를 사용자인 인간에게 맡겨 로봇 제어의 연산 부담을 크게 줄이는 매우 효율적인 인간-로봇 융합 기술"이라며 "국내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여서 해외 선발업체들이 진입하기 전에 국내 업체들의 핵심기술 확보와 조기 권리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특허청은 국내 업체들의 특허 창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특허권과 연계한 로봇기술의 연구개발 전략수립(IP-R&D)을 지원하며, 각종 국내 로봇경진대회를 지원하면서 로봇 꿈나무 육성도 후원한다.
ye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