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대전시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신속한 지진 대응체계를 구축을 위해 손을 잡았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24/AKR20171024086300063_02_i.jpg)
시와 지질자원연구원은 24일 시청에서 '지진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서'에 서명했다.
지질자원연구원이 개발 중인 지진 조기경보기술로 대전지역 8곳에 설치된 지진가속도계측기 자료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지진 여부를 판단하는 감시체계를 가동하는 게 협약의 주요 내용이다.
시가 지진가속도계측 자료를 지질자원연구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면, 연구원은 지진 분석자료 등 지진 대응에 필요한 기술자문을 한다.
지질연구원이 개발 중인 조기경보기술은 내부 시설물 방재를 목적으로 국가기간시설에 대한 지진 대응을 지원하는 게 주목적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24/AKR20171024086300063_01_i.jpg)
현재 지방 주요 시설에 설치된 지진가속도계측 자료는 행정안전부를 통해 가공, 전달되는데 대규모 자료를 동시에 처리하다 보니 재난 방재업무가 지연되는 점이 없지 않다.
기상청이 발표하는 진도정보도 지역에 계측기가 설치되지 않아 시민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시는 이번에 지진대응체계를 구축하면 기상청의 지진 발생 통보와 지질자원연구원의 분석결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재난 대응능력이 한 단계 향상될 것으로 기대했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지난해 경주 지진을 경험하면서 대한민국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지역 지진방재를 위해 신속한 지진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지진재난에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young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