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 차단 외에 다양한 기능 갖춘 다기능 방음벽 출원 늘어
(대전=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도로변에 설치돼 교통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 관련 기술이 소음 차단 외에 먼지 줄이기와 전력생산 기능 등을 더하며 다기능 융·복합화하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25/AKR20171025052200063_01_i.jpg)
25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7∼2011년 사이 전체 방음벽 특허출원의 18%(82건) 정도였던 다기능 방음벽 특허출원이 2012∼2016년에는 29%(86건)로 늘었다.
기존의 방음벽이 도로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도로변에 수직으로 높이 설치돼 도시 미관을 해치고 주민들의 시야를 방해하게 됨에 따라 이런 거대 구조물을 다각도로 활용하기 위해 환경과 에너지 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도로를 터널 형태로 덮는 구조로 기존 방음벽보다 소음 차단 효과가 탁월하고 비산먼지까지 차단하는 터널형 방음벽이 69건(41%), 토양·식물 등 식재를 배치해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온·습도 조절로 열섬현상 개선 효과까지 나타내는 식생 방음벽 57건(34%), 태양광 패널을 벽면 일부에 장착해 발전기능을 수행하는 태양광 방음벽이 42건(25%)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25/AKR20171025052200063_02_i.jpg)
출원인은 중소기업이 108건(64.3%)으로 가장 많고, 개인 39건(23.2%), 연구기관 19건(11.3%), 대기업 2건(1.2%) 순으로, 대기업의 참여가 저조하고 중소기업과 개인의 출원이 활발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0/25/AKR20171025052200063_03_i.jpg)
방음벽의 시장규모가 제한적임에 따라 기술력을 가진 일부 전문기업 위주로 연구개발이 이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강전관 특허청 국토환경심사과장은 "최근 도로 방음벽 등 사회 인프라 구조물에 에너지·환경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늘었다"며 "미세먼지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정부의 탈원전 기조로 에너지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서 이런 융복합 기술 개발과 특허출원은 계속 늘 것"이라고 전망했다.
ye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