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산명 │등재 일자 │ 유산 개요│
├─────────────┼─────┼─────────────────┤
│ 훈민정음 해례본 │1997.10.1 │- 1446년 9월 간행된 한 권의 목판본│
│ │ │으로 세종대왕의 공포문과 집현전 학│
│ │ │자들의 해설, 해례 포함. 국보 제70 │
│ │ │호. │
├─────────────┼─────┼─────────────────┤
│ 조선왕조실록 │1997.10.1 │- 조선을 개국한 태조부터 철종까지 │
│ │ │470여년간 왕조의 역사를 담고 있는 │
│ │ │책으로 역사와 문화 전반을 포괄하는│
│ │ │ 매일의 기록. 국보 제151-1∼4호. │
├─────────────┼─────┼─────────────────┤
│승정원일기│ 2001.9.4 │- 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 │
│ │ │에서 매일 작성한 일기로 국왕의 하 │
│ │ │루 일과와 지시, 각 부처의 보고, 국│
│ │ │정회의 상소 사료를 총망라함. 국보 │
│ │ │제303호. │
│ │ │- 화재로 소실된 부분을 제외하고 16│
│ │ │23∼1910년 3천243책, 2억4천250만자│
│ │ │의 방대한 기록물. │
├─────────────┼─────┼─────────────────┤
│ 직지심체요절 │ 2001.9.4 │-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 │
│ │ │활자본으로 선의 요체를 깨닫는 데 │
│ │ │필요한 역대 불조사들의 어록 중 중 │
│ │ │요한 대목을 초록한 책.│
│ │ │-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인 주자 │
│ │ │로 찍어낸 것으로 상하 2권 중 상권 │
│ │ │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하권이 프랑 │
│ │ │스 국립도서관에 있음. │
├─────────────┼─────┼─────────────────┤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2007.6.14 │- 해인사 대장경판은 1237∼1248년 │
│ │ │경판 8만1천여 장에 판각한 완전한 │
│ │ │형태의 불교 경전집. 국보 제32호. │
│ │ │제경판은 대장경판을 보완하기 위해 │
│ │ │만든 경판.│
│ │ │-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
│ │ │된 해인사 장경판전에 소장.│
├─────────────┼─────┼─────────────────┤
│ 조선왕조 의궤 │2007.6.14 │- 조선왕조(1392∼1910년)의 왕실 행│
│ │ │사를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독특한 │
│ │ │기록물로 약 4천권으로 구성. │
├─────────────┼─────┼─────────────────┤
│ 동의보감 │2009.7.31 │- 17세기 초 왕명에 따라 발간된 의 │
│ │ │학 백과사전. 국보 제319-1∼3호. │
│ │ │- 동양의학의 진화 과정을 알 수 있 │
│ │ │고 예방의학, 공중보건의 개념도 소 │
│ │ │개됨. │
├─────────────┼─────┼─────────────────┤
│ 일성록 │2011.5.25 │-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가 쓴 일기 │
│ │ │형식의 기록. 재위에 오르기 전에는 │
│ │ │일상생활과 학문, 재위에 오른 후에 │
│ │ │는 정사에 대한 내용을 적었음. 국보│
│ │ │ 제153호. │
│ │ │- 전근대 시기 왕이 자신의 통치 이 │
│ │ │념과 국정 운영에 대한 생각을 담은 │
│ │ │보기 드문 기록물. │
├─────────────┼─────┼─────────────────┤
│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2011.5.25 │- 한국과 동아시아 지역 민주화에서 │
│ │ │중요한 역할을 한 5·18 민주화운동(│
│ │ │1980년 5월 18∼27일)에 관한 문서, │
│ │ │사진, 영상물 등 기록물 모음. │
├─────────────┼─────┼─────────────────┤
│ 난중일기 │2013.6.18 │- 임진왜란(1592∼1598년) 중 해군 │
│ │ │사령관을 지낸 충무공 이순신이 군중│
│ │ │에서 쓴 일기. 국보 제76호.│
│ │ │- 임진일기, 계사일기, 갑오일기, 병│
│ │ │신일기, 정유일기, 무술일기 등 친필│
│ │ │본 7책으로 구성됨.│
├─────────────┼─────┼─────────────────┤
│새마을운동 기록물 │2013.6.18 │- 개발도상국 발전 모델로서 유엔에 │
│ │ │서 빈곤 퇴치, 농촌 개발의 모범 사 │
│ │ │례로 인정받은 새마을운동(1970∼197│
│ │ │9년)에 관한 정부·민간 문서와 사진│
│ │ │, 영상물 등 기록물 모음. │
├─────────────┼─────┼─────────────────┤
│ 한국의 유교책판 │2015.10.9 │-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저작물을 간 │
│ │(현지시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718종, 6만4천22│
│ │ │6장의 목판. 한국국학진흥원이 보존 │
│ │ │·관리하고 있음. │
│ │ │- 유학자의 문집, 성리학 서적, 족보│
│ │ │·연보, 예학서(禮學書·예법에 관한│
│ │ │ 책), 역사서, 훈몽서(訓蒙書·어린 │
│ │ │아이를 위한 책), 지리지 등으로 구 │
│ │ │성됨. │
├─────────────┼─────┼─────────────────┤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2015.10.9 │- KBS가 1983년 6월 30일∼11월 14일│
│ 찾습니다 기록물 │(현지시간)│ 방영한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생방│
│ │ │송의 비디오 녹화 원본 테이프, 프로│
│ │ │듀서 업무수첩, 이산가족이 작성한 │
│ │ │신청서, 일일 방송진행표, 큐시트, │
│ │ │기념 음반, 사진 등 기록물 모음. │
├─────────────┼─────┼─────────────────┤
│조선통신사 기록물 │2017.10.31│- 조선이 임진왜란이 끝난 뒤인 1607│
│ │(현지시간)│년부터 1811년까지 12회에 걸쳐 일본│
│ │ │에 보낸 조선통신사 관련 기록. │
│ │ │- 외교 기록, 여정 기록, 문화교류 │
│ │ │기록 등으로 나뉘며 111건, 333점으 │
│ │ │로 구성됨.│
├─────────────┼─────┼─────────────────┤
│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 │2017.10.31│- 조선왕실의 의례용 도장인 어보(御│
│ │ │寶) 331점과 세자 책봉·직위 하사 │
│ │ │시에 대나무나 옥에 교서를 새긴 어 │
│ │ │책(御冊) 338점. │
│ │ │- 유교 국가인 조선왕조의 지속성과 │
│ │ │정통성, 신성성을 상징하는 유물. │
├─────────────┼─────┼─────────────────┤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2017.10. │- 1907년부터 1910년까지 나랏빚을 │
│ │ │갚기 위해 진행한 국채보상운동의 발│
│ │ │달과 전개 과정을 적은 수기(手記), │
│ │ │언론 보도 등 2천472건의 기록. │
└─────────────┴─────┴─────────────────┘
(서울=연합뉴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