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한림원 첫 국제행사 '영사이언티스트톡'서 한목소리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과학자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연구 환경은 무엇일까.
일본, 영국, 스웨덴 등에서 온 만 45세 미만 '젊은 과학자'들은 1일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국내 취재진과 만나 '연구의 자유'를 최고의 가치로 꼽았다.
이날 공동 인터뷰는 올해 2월 출범한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의 첫 국제교류 행사인 '영사이언티스트톡 2017'(Young Scientists Talk 2017)의 하나로 열렸다.
인터뷰에 참석한 미츠노부 카노 일본 오카야마대 교수는 "과학은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신뢰할만한 증거를 들어 질문에 답하는 학문"이라며 "어떤 질문이든 던질 수 있는 자유가 있어야 하는데, 일본의 상황은 그런 면에서 훌륭하지는 않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일본의 젊은 연구자들은 연구비를 받기 위해, 연구 주제를 정하는 것부터 압박감을 느낀다고도 토로했다.
마리 위버그 스웨덴 우메아대 교수는 "젊은 연구자일수록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며 " 우리나라에서는 그간 젊은 연구자들이 과감한 연구 주제에 도전할 수 있게 10년간 안정적인 지원을 보장해 달라는 요청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리츠 리드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역시 이에 동의하며 "연구자로 첫발을 뗀 젊은 과학자가 자율성과 독립성을 갖고 자신만의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연구시스템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뿐 아니라 '연구 선진국'으로 불리는 영국, 스웨덴 등에서도 창의적 연구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며 이슈가 된 연구원의 고용 안정 보장에 대해서도, 외국 과학자들은 각국 과학계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카노 교수는 "일본에서도 연구자들이 '안정적인 커리어'를 찾아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뛰어난 성과를 내지 않는 한 비정규직을 벗어나 제대로 된 '학자'로서의 길을 걷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비로 줄 수 있는) 인건비가 줄어들어 젊은 과학자들은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기가 더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리드 교수는 "연구자가 되겠다고 마음먹은 개인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비정규직 문제는 '위험 부담'으로 다가온다"며 "젊은 연구자를 끌어들이려면 고용 안정화를 통한 '연구 지속성'이 전제돼야 한다"고 밝혔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