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연합뉴스) 황봉규 기자 = 경남 남해군민들이 3일 경남도청 정문에서 남해대교 옆에 준공을 앞둔 새 교량 명칭을 '제2남해대교'로 해줄 것을 촉구했다.
남해군 시민사회단체와 주민 등으로 구성된 '제2남해대교 명칭 관철 남해군 민관합동 대책위원회'는 이날 경남도청 정문 앞에서 제2남해대교 명칭 관철을 위한 군민 궐기대회를 열었다.
공동대책위원장을 맡은 박영일 남해군수와 류경완 도의원, 박삼준 남해군의회 부의장 등과 주민 600여명은 관광버스 17대에 나눠 타고 궐기대회에 참여했다.
'제2남해대교 명칭 우리가 지켜내자', '노량대교 충무공대교 결사반대', '경남도 지명위는 제2남해대교 명칭 선정하라' 등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든 이들은 투쟁결의문을 채택했다.
대책위는 결의문에서 "남해군민은 40여년간 남해대교와 생사고락을 같이 해왔다"며 "제2남해대교는 남해군민의 희망의 상징이자 마음의 고향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남도 지명위원회는 남해군민을 외면하고 논리적 명분도, 중립성도 도외시한 편파적인 심의결과를 내놓았다"며 "경남도 지명위원회 심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31일 자로 임기가 끝난 경남도 지명위원회 위원을 새로 선임해 공정성을 기해 재심의할 것을 건의한다"며 "제2남해대교 명칭이 관철될 때까지 남해군민은 법적 물리적 투쟁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이러한 입장을 경남도 도시교통국장에게 전달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지난달 30일 열린 지명위원회에서 제1안 노량대교, 제2안 남해하동대교 명칭이 제시됐으나 남해와 하동군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임을 고려해 서로 숙려기간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오는 10일까지 심의를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03/AKR20171103151800052_01_i.jpg)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1973년 6월 설치한 남해대교 물동량이 크게 늘자 2천522억원으로 국도 19호선 3.1㎞ 확장공사와 함께 남해군 설천면과 하동군 금남면을 연결하는 교량을 건설하고 있다.
이 교량은 길이 990m, 폭 27.5m 왕복 4차로로 기존 남해대교와 550m 떨어져 있다.
현재 90% 공정률로 순조롭게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내년 6월 개통할 예정이다.
남해군은 이 교량 개통이 임박해지자 교량명을 '제2남해대교'로 결정해 달라는 건의문을 경남도 지명위원회에 전달했다.
하동군도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충무공대교'와 '노량대교' 가운데 한 가지를 교량명으로 정해 달라고 건의하는 등 두 지방자치단체가 교량명을 놓고 대립하고 있다.
bong@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03/AKR20171103151800052_02_i.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